작년 4분기에 리콘스는 코테콘스의 매출채권에 대한 충당금으로 처음으로 2,270억 VND 이상을 따로 마련했는데, 이는 코테콘스가 부실채권으로 판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최근 작성된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리콘스 건설투자 주식회사는 코테콘스(CTD)의 단기 미수금의 70%에 해당하는 2,270억 동(VND) 이상의 충당금을 설정했습니다. 리콘스가 해당 미수금에 대해 충당금을 설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이는 부실채권으로 간주됩니다.
이 기업은 현재 코테콘스(Coteccons)로부터 3,225억 동 이상의 단기 미수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2022년 말 대비 약 2,800만 동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 수치는 고객사로부터 발생한 총 단기 미수금의 8% 이상을 차지하며, 호치민시 1군 넥서스 빌딩 투자자인 푸옹남 3A-1 부동산(Phuong Nam 3A-1 Real Estate)의 1조 860억 동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단기 미수금입니다. 한편, 리콘스는 이 기업의 미수금에 대한 충당금을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코테콘스 측에서는 자체적으로 작성한 4분기 재무 보고서에 리콘스에 지불해야 할 금액이 명확하게 설명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매출채권은 고객이 회사에 납품 또는 사용했지만 아직 대금을 지불하지 않은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지불해야 하는 금액입니다. 관련 법규에 따르면, 연간 재무제표 작성 시점에 매출채권이 회수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기업은 손실 규모를 추정하고 증거를 바탕으로 충당금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충당금은 비용에 포함되고 과세소득 산정 시 공제됩니다. 따라서 이는 기업의 손실을 보전하는 방법으로 간주됩니다.
코테콘스가 아직 부채를 갚지 않자, 2023년 7월 말 리콘스는 호찌민시 인민법원에 코테콘스를 상대로 파산 절차 개시를 위한 청원을 제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2023년 10월 초 청원을 기각했습니다.
코테콘스는 두 회사 모두 응우옌 바 즈엉(Nguyen Ba Duong) 회장이 이끄는 생태계에 속해 있던 2019년 이전부터 미수금 및 미지급금(부채)을 포함한 거래 내역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회사가 리콘스에 부채를 갚지 않은 이유는 프로젝트 투자자가 부채를 지불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양 당사자 간에 체결된 계약서에는 코테콘스가 투자자로부터 대금을 수령한 경우에만 하청업체에 대금을 지불한다는 명확한 조항이 있었습니다.
코테콘스의 부실채권을 따로 마련해야 했기 때문에 리콘스는 2023년 4분기에 비용이 급격히 늘어났고, 이로 인해 회사의 영업 순이익은 80억 VND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리콘스는 연간 매출 약 7조 5,750억 동(VND), 세후이익 약 830억 동(VND)을 기록했습니다. 두 지표 모두 2022년 대비 각각 33%와 9% 하락했습니다. 회사는 사업 계획을 초과 달성했지만, 매출은 지난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이익은 2021년 팬데믹 기간을 제외하고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싯다르타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