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최대 4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는 일련의 서한을 통해 무역 상대국에 전례 없는 압력을 가하고 있지만, 동시에 최종 협상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연설하는 모습) 사진: THX/TTXVN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월 7일 여러 국가 정상들에게 새로운 관세 적용을 알리는 서한을 보내며 다시 한번 세계 무역 판도를 뒤흔들었습니다. CNN에 따르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통해 대대적으로 보도된 이 조치는 미국 무역 상대국에 대한 압력이 상당히 증가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모든 "상호" 관세의 적용일을 8월 1일까지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함으로써 긴장을 "냉각"시켰습니다. 이는 영향을 받는 국가들이 외교적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가져다주었습니다.
세율 인상, 대상 국가 늘어
이러한 "상호" 관세는 원래 7월 9일부터 발효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연장으로 각국이 추가 협상을 진행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일부 서한에서는 새로운 관세가 4월에 발표된 관세보다 높거나 낮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와 이재명 한국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을 가장 먼저 받았으며, 8월 1일부터 25% 관세가 발효될 예정입니다. 불과 2시간 후, 트럼프 대통령은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남아프리카공화국, 미얀마, 라오스에도 최대 40%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고 발표했습니다.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은 튀니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30% 관세 부과),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세르비아, 캄보디아, 태국 정상에게 7개의 새로운 서한을 발송하여, 7월 7일 서한을 받은 국가 수가 14개국으로 늘어났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미국이 이들 국가에 대해 겪고 있는 무역 적자에 대한 우려를 강조했습니다. 이는 미국이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는 또한 미국 상품의 해외 판매를 막고 있는 정책에 대한 대응으로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관세를 피하기 위해 외국 지도자들에게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도록 독려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14통의 서한 모두에서 상대국이 미국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명시된 수준보다 더 높은 관세를 인상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 백악관 관계자는 이러한 관세가 "모든 부문별 관세와 별개"라고 확인했습니다. 즉, 현재 25% 자동차 관세와 같은 기존 또는 향후 특정 관세에 추가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EU: 놀라운 예외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대해 여러 차례 관세 인상을 위협해 온 가운데, 무역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EU는 아직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서한을 받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대변인 올로프 길은 7월 7일 오후 기자들에게 "받지 못한 서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일랜드의 외무통상부 장관 사이먼 해리스는 성명을 통해 "제가 이해하기로는 현재 현상이 8월 1일까지 연장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EU와 미국이 원칙적으로 상호 이익이 되는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시간을 더 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EU가 별도로 협상을 진행 중이거나 특별 양보를 받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미국은 작년에 7월 7일에 서한을 받은 14개국으로부터 총 4,650억 달러 상당의 상품을 구매했습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6위와 7위 무역 상대국인 일본과 한국이 그 중 60%를 차지했으며, 작년에 미국으로 운송된 상품의 총 가치는 2,800억 달러였습니다.
상품 관세 인상 가능성은 미국 소비자들의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이 한국과 일본에서 가장 많이 수입하는 품목에는 자동차, 자동차 부품, 반도체, 의약품, 기계 등이 있습니다.
다른 국가들이 일본과 한국보다 미국으로 수출하는 상품 수는 적지만, 많은 경우 이들 국가는 외국 상품의 주요 공급처에 속합니다. 예를 들어, 30% 관세가 부과될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작년 미국이 다른 나라에서 수입한 백금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며 최대 외국 공급국입니다.
24% 관세(트럼프 대통령이 4월에 발표한 25% 관세보다 상향 조정)를 부과받게 될 말레이시아는 작년에 180억 달러 상당의 반도체를 구매하며 미국에 두 번째로 큰 반도체 공급국이었습니다. 한편,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캄보디아는 의류 및 액세서리 제조의 주요 허브로, 트럼프 대통령은 캄보디아 총리에게 보낸 서한에서 36% 관세 부과를 경고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움직임은 단순한 협상 전략이 아니라, 미국에 불리하다고 판단되는 무역수지를 재조정하려는 시도이기도 합니다. 이제 관건은 이 연장 조치가 피해국들이 해결책을 찾기에 충분할 것인가, 아니면 더 포괄적인 무역전쟁의 서막일 뿐인가입니다.
Vu Thanh/뉴스 및 민족 신문
출처: https://baotintuc.vn/the-gioi/tong-thong-trump-gui-toi-haus-thu-thu-quan-buoc-mo-cho-dam-phan-hay-khoi-dau-cuoc-chien-thuong-mai-moi-20250708073921083.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