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4일, 김홍균 외교부 2차관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방문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커트 캠벨 미국 외교부 차관과 긴급 전화 통화를 가졌습니다.
2023년 9월 러시아 극동 아무르 지역에서 회담을 가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출처: 스푸트니크) |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김홍균 차관은 전화 통화에서 푸틴 대통령의 방문이 평양과 모스크바 간의 군사 협력을 심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캠벨 장관은 상대방의 우려에 답하며, 방문으로 인해 제기된 지역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을 지속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한국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6월 12일 푸틴 대통령이 "앞으로 며칠 안에"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지만, 모스크바와 평양은 이 소식에 대해 아직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방문이 성사된다면 러시아 지도자가 북한을 방문하는 것은 20여 년 만에 처음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2000년 7월 평양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났다.
작년 9월, 김정은 위원장은 러시아를 방문하여 러시아 대통령에게 자국을 방문하도록 초대했습니다.
한반도와 관련된 사건으로, 한국의 연합 통신은 6월 13일 미국 국무부 대변인 매튜 밀러가 평양에 남북 관계에 긴장을 야기할 수 있는 활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밀러 씨는 기자회견에서 동맹국인 한국에 대한 미국의 안보 공약을 재확인하면서, 이러한 공약을 "강철처럼 견고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최근 평양이 전단지를 뿌린 데 대한 보복으로 이웃나라에 쓰레기가 가득 든 풍선을 발사한 이후 두 남북한 간의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이러한 전화가 나왔습니다.
그러자 한국은 2018년 남북 긴장 완화 합의(CMA)를 중단하고 대북 방송을 재개했습니다.
한국이 6년 만에 첫 라디오 방송을 개시한 지 몇 시간 전인 6월 9일, 관계자들은 북한군 약 20명이 두 한국을 가르는 비무장지대(DMZ) 내의 군사분계선(MLD)을 넘었으나 서울이 경고사격을 가하자 후퇴했다고 밝혔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baoquocte.vn/truoc-don-doan-tong-thong-nga-tham-trieu-tien-my-han-hop-khan-washington-tuyen-bo-cam-ket-vung-nhu-thep-voi-seoul-274967.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