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는 7월 3일 도쿄와 평양이 지난달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에 관해 회담을 가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설명용 사진. (출처: 교도통신) |
구체적으로 이 신문은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과 일본 당국자들이 중국, 싱가포르 등 제3국에서 최소 두 차례 회동을 가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협상이 계속될 경우 양측이 향후 고위급 회담 개최 가능성을 논의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일본은 또한 북한과의 회담에 대해 미국에 사전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정보에 대해 통일부 구병삼 대변인은 위 만남을 확인할 만한 충분한 자료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앞서 5월 말,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는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양자 회담을 갖고 정상회담을 주선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한편, 평양의 외무부 차관은 두 나라가 "만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단언했습니다.
2002년 북한은 일본인 5명을 송환했습니다. 그 이후 일본은 북한에 나머지 12명의 석방을 요구해 왔습니다.
관련 뉴스로, 지난 주말,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강경한 입장으로 알려진 저명한 학자 김영호를 통일부 장관으로 임명했습니다.
윤 의원은 통일부가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질서에 기초해야 한다는 헌법 원칙에 따라 책임을 다해야 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김영호 씨는 서울의 대북정책에서 인권 문제가 우선순위라는 점을 고려하여 평양에 인권 문제를 압박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