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부와 라이프스타일 보고서"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파리는 2024년 초부유층의 지출 수준이 세계에서 가장 "엄청나게 높은" 도시 중 8위를 차지했습니다.

유럽 연합(EU) 회원국 중 프랑스는 생활비가 매우 높은 나라 중 하나입니다. 특히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등 다른 유럽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프랑스의 수도 파리는 세계에서 가장 생활비가 비싼 도시 중 하나로 꼽힙니다.
부유층 줄리어스 베어를 위한 전문 은행이 6월 26일에 발표한 "글로벌 부와 라이프스타일 보고서"에 따르면, 파리는 2024년에 초부유층의 지출 수준이 세계에서 가장 "엄청나게 높은" 도시 중 8위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파리의 모든 것이 지나치게 호사스럽고 웅장한 것은 아니며, 올해의 올림픽 역시 프랑스 수도의 매우 다른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다른 스포츠 행사와 비교하면, 가장 최근 행사는 VNA 기자들이 작년에 항저우(중국)에서 참석한 2022년 아시안 게임인데, 2024년 파리 올림픽은 훨씬 "단순"합니다.
예를 들어, 2022년 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는 기자들을 메인 프레스 센터(MPC)에서 경기장까지 단거리 버스로 이동시키는 시스템을 마련했지만, 프랑스의 파리 2024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버스, 지하철, 트램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카드만 발급했습니다.
파리 올림픽의 식수 문제와 관련하여, 특히 파리 팬들과 일반적으로 유럽 팬들이 올림픽 경기장에 올 때 흔히 볼 수 있는 이미지는 보온병이나 물병을 들고 다니는 것입니다.
이곳에서는 경기장 내 분수대에서 무료로 식수를 제공합니다. 노이바이 공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무료 식수대와 유사합니다. 물병을 가져오지 않으시면 수돗물을 바로 마실 수 있으며, 화장실에도 수돗물을 마셔도 안전하다는 빨간색 표지판이 있습니다.
팬들뿐만 아니라 물을 마셔야 하는 기자들도 팬들과 같은 무료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기장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에게 제공되는 정수된 물도 이 정수기에서 직접 받아 유리병에 담아 제공해 마치 집에서 마시는 물처럼 친숙한 느낌을 선사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파리 교외의 바이르쉬르마른에 있는 조정 경기장에 도착했을 때, 음료 서비스 구역에 기자들에게 일회용 종이컵에 이름을 써 달라고 요청하는 공지가 붙어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러면 한 번만 마시고 버리는 대신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을 테니까요.
2024년 파리 올림픽을 위해 개최국은 파리의 이미 포괄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지하철 노선을 건설했습니다.
하지만 완벽한 에어컨 시스템을 갖춘 새로운 시원한 열차 노선 외에도 낡은 좌석과 냉각 시스템이 없는 오래된 열차도 여전히 있기 때문에 열차가 속도를 줄이거나 승객을 태우기 위해 멈출 때마다 객실의 공기가 엄청나게 더워집니다.
일반적으로 열차에는 승객이 목적지를 알 수 있도록 각 역에 LED 노선 표시판과 안내 스피커가 항상 설치되어 있지만, 이는 새로운 열차 노선에만 적용됩니다.
기존 노선에는 운행 정보를 안내하는 LED 전광판이나 확성기가 없습니다. 승객이 직접 문을 열어야 하며, 자동문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오래된 기차 노선을 이용할 경우 승객은 해당 노선에 대해 잘 알고 있거나 매우 집중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여행을 놓치거나 잘못된 목적지에서 내릴 위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일들은 유럽 사람들이 2024년 파리 올림픽에 갖는 존경심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듯합니다. 우리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각 기차역에서 승하차하며 흥분과 편안함을 느끼며 올림픽 경기장으로 향하는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치 사람들이 경기장에서 무료 음료를 기다리며 행복하게 줄을 서 있는 모습과 같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