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 대통령 호세 라울 물리노는 파나마 운하 통제권을 놓고 미국과의 협상을 배제하고, 중국이 운하 운영에 간섭하지 않을 것이며 미국 선박에 대한 통행료를 인하하지 않겠다고 다짐했습니다.
12월 26일 기자회견을 하는 무리노 대통령
AFP 통신은 12월 27일, 파나마 대통령 호세 라울 물리노가 파나마 운하 통제권을 놓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협상할 가능성을 배제한 반면, 운하 운영에 대한 중국의 간섭은 부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무리노 씨는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중요한 수로의 통제권을 돌려달라고 요구한 데 대한 대응으로 미국 선박의 요금 인하를 배제했습니다.
"말할 것도 없습니다. 운하는 파나마와 파나마 국민의 소유입니다. 이 나라의 피와 땀, 눈물을 흘린 이 현실을 두고 어떤 대화도 나눌 수 없습니다." 중앙아메리카 국가 지도자의 말입니다.
1914년에 개통하여 미국에 의해 건설된 이 운하는 약 20년 전 당시 미국 대통령인 지미 카터와 파나마 대통령 오마르 토리호스가 체결한 조약에 따라 1999년 12월 31일에 파나마에 인계되었습니다.
12월 21일, 트럼프 대통령은 운하를 통과하는 미국 선박에 부과되는 "불합리한" 요금을 비판하며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암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 네트워크 '트루스 소셜'에 "이 운하는 파나마만을 위한 것이지 중국이나 다른 누구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결코 운하가 잘못된 손에 넘어가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글을 올렸으며, 파나마가 운하의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운영"을 보장하지 않을 경우 미국은 운하의 "반환"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전 세계 선박 교통량의 약 5%가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는데, 이를 통해 아시아와 미국 동부 해안을 오가는 선박은 남미 남단을 돌아가는 길고 위험한 항로를 피할 수 있습니다.
운하의 주요 사용자는 미국으로 전체 물동량의 74%를 차지하고, 그 뒤를 이어 중국이 21%를 차지합니다.
무리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군인들이 파나마 운하에서 불법적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또 다른 비난을 일축하면서 "파나마 운하와 관련된 어떤 일에도 중국은 전혀 간섭하거나 개입하지 않았다"고 단언했습니다.
파나마는 대만과의 관계를 단절한 후 2017년에 중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thanhnien.vn/panama-quyet-khong-dam-phan-voi-ong-trump-ve-kenh-dao-phu-nhan-anh-huong-cua-trung-quoc-18524122706435595.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