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025년 8월 24일 일본 국빈방문을 마치고 미국으로 출국하기 위해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비행기에 탑승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VNA)
8월 25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도쿄에서 워싱턴으로 가는 비행기에서 이 대통령은 평양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동결하고, 축소하고, 결국 해체하도록 설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최근 발표한 3단계 비핵화 계획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는 기자들에게 "북한에 대해 제가 말해야 할 모든 것을 아무런 제한 없이 말하겠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 문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핵 문제든 다른 문제든 한반도의 평화 와 안정이 한국의 안보에 가장 중요합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10월 말 APEC 정상회의를 위해 한국을 방문하면 북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때처럼 양측이 세 차례 정상회담을 가졌던 긴장 완화 분위기를 되살릴 수 있다는 의미다.
김정은 위원장에게 초청 의사를 밝히겠냐는 질문에 이 대통령은 2018년 평창올림픽 당시의 화해적인 분위기와 비교하는 것을 거부하며, 현재 상황이 "훨씬 나쁘다"고 단언했다. 적대감이 고조되고 평양의 핵·미사일 능력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상황이 악화될수록 대화의 필요성은 더욱 커집니다. 지금 상황을 그대로 두고 과거처럼 수동적으로 대응한다면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한 김정은 위원장의 강력한 여동생인 김여정이 최근 평화 제안을 거부하고 그가 "역사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이 아니다"라고 말한 것을 크게 문제 삼지 않았습니다.
이 총리는 이러한 발언에 화가 나지 않았으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평양과 대화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강력한 안보 및 억제력을 바탕으로 북한과의 대화와 소통을 촉진해 군사적 충돌 위험을 줄이고, 경제를 활성화하며, 국민의 불안을 해소해 나갈 것"이라며 "이는 대한민국의 이익에도 부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VNA에 따르면
출처: https://baothanhhoa.vn/tong-thong-han-quoc-neu-toan-bo-van-de-trieu-tien-trong-cuoc-gap-ong-trump-259362.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