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꾸이에는 푸른 채소밭이 있고, 농부들은 새벽부터 해 질 때까지 열심히 일해 삶을 안정시키고 섬 지역 주민들에게 신선하고 고품질의 채소와 과일을 제공합니다.
본토에서 56해리 이상 떨어진 푸꾸이는 빈투 언성의 섬 지역으로, 일 년 내내 햇살과 바람만 가득합니다. 혹독한 기후 때문에 섬에서 채소를 재배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13년 전만 해도 이곳 주민들의 일상 식단에 들어가는 채소는 본토에서 수입한 채소에 의존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섬 지역 주민들은 채소를 재배할 뿐만 아니라, 가족의 식사를 위해 채소를 손질하여 상당한 수입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투어를 마친 후, 응우풍(Ngu Phung) 마을에 들렀습니다. 이곳은 섬 지역에서 채소가 가장 많이 재배되는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늦은 오후였지만, 텃밭에서는 농부들이 여전히 부지런히 잡초를 뽑고 무성한 채소에 물을 주고 있었습니다.
응우옌 득 응이아(응우풍사 푸안 마을) 씨는 1사오(약 1만 평) 이상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그는 이곳에서 양파, 고수, 계피, 상추, 오이, 여주, 호박 등을 재배하고 있습니다. 그는 과거에는 오래된 농사 관행 때문에 이전 작물의 수확물을 다음 작물의 씨앗으로 보관했기 때문에 수확량이 높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빈투언성 과학기술진흥정보응용센터는 2010년부터 "푸꾸이 섬 지역의 채소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발전 적용, 모래 토양 채소 생산 모델 구축 및 개발" 프로젝트를 시행해 왔습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섬 주민들은 과학 기술을 활용하여 녹색 채소를 재배하고, 동시에 주민들의 소비 욕구를 충족시키는 채소를 생산해 왔습니다.
"섬 주민들은 이곳에서 재배되는 채소와 과일을 정말 좋아해서 저희처럼 채소 재배 농가에서는 살충제 사용을 최소화했습니다. 수확한 채소와 과일은 모두 판매합니다. 채소 재배는 전반적으로 가족에게 안정적인 삶을 제공하고 아이들에게 좋은 교육을 제공했습니다."라고 응이아 씨는 말했습니다.
섬 지역이 토지 거래 측면에서 "핫"하지만, 여전히 많은 가구가 자신의 땅을 지키려고 애쓰며 정원 가꾸기와 채소 재배에 힘쓰고 있어 가계 소득을 늘리고 있습니다. 응우옌 티 레(응우풍사 푸안 마을) 씨도 이곳에서 오랫동안 채소를 재배해 온 가구 중 한 명입니다. 1사오(약 1,000평) 남짓한 땅에서 그녀의 가족은 물상추, 풋겨자, 호박, 바질 등을 재배합니다. 레 씨에 따르면, 최근 몇 년 동안 섬 지역의 땅값이 오르면서 많은 사람들이 사려고 했지만 그녀는 팔기를 거부했습니다. "여기 살면서 우리는 항해나 정원 가꾸기만 합니다. 우리 가족은 전에 바다에 가본 적이 없습니다. 지금 땅을 팔면 앞으로 어떻게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레 씨는 말했습니다.
응우풍(Ngu Phung) 마을 인민위원회 부위원장인 쩐 쫑 킴(Tran Trong Kim) 씨는 응우풍 마을의 채소 재배는 오랫동안 소규모로 이루어져 왔으며, 각 가정과 마을의 필요를 충족시켜 왔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이 직업이 크게 발전하여 주민들의 일자리와 주요 수입원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응우풍의 녹색 채소는 단양배추, 상추, 파, 말라바 시금치, 박하, 토마토, 오이, 향신료 등 다양합니다. 현재 약 70가구가 채소를 재배하고 있으며, 각 가구는 300~400m²의 땅을 소유하고 있으며, 일부 가구는 1~2사오(약 1~2사오)까지 소유하고 있습니다. 김 씨는 "섬 주민들은 근면하고 부지런합니다. 처음에는 섬 지역의 토양이 특정 채소와 과일에만 적합해서 파종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가장 어려운 문제는 여전히 관개용수 문제입니다. 일정 기간 파종하면서 농부들은 점차 배우고 경험을 쌓아 현재는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재배하여 섬 주민들의 채소 공급량 증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푸꾸이의 응우풍에 가면 매일 이른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 온갖 종류의 야채를 가꾸거나, 매일 고객에게 판매할 녹색 식품을 공급하기 위해 수확하는 사람들의 분주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