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정보통신부는 동즈엉 텔레콤(Dong Duong Telecom), 모비캐스트(Mobicast), 아심(ASIM), 디지라이프(Digilife) 등 4개 기업에 베트남 내 가상이동통신망(MVNO) 사업 허가를 내주었습니다. 통신부에 따르면, 4월 30일 기준 이들 통신사의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265만 명으로 증가하여 전체 시장 가입자 수의 2.1%를 차지했습니다.
현재 베트남 모바일 시장은 ARPU가 낮고 OTT 서비스와의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습니다. 따라서 베트남 모바일 시장에는 새로운 활력이 필요합니다. 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 참여는 금융, 교육 , 의료, 엔터테인먼트 등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는 서비스 유형 다변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정보통신부 통신국 응우옌 퐁 나 부국장은 MVNO(가상사설망) 모델이 베트남의 새로운 모델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 모델은 전국적으로 서비스를 신속하게 구축하고, 인프라와 자원을 절약하며,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것입니다.
장점 측면에서 가상 모바일 네트워크는 인프라에 투자할 필요가 없고, 인프라를 갖춘 통신사로부터 도매 트래픽만 구매합니다. 따라서 가상 모바일 네트워크는 고객에게 적합한 제품을 설계하는 사업에만 집중합니다. 따라서 가상 모바일 네트워크는 인프라를 갖춘 통신사만큼 넓은 시장이 아닌, 강점을 가진 틈새 시장을 공략합니다.
그러나 가상 모바일 네트워크는 인프라를 갖춘 네트워크 사업자가 항상 "우월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사업자에게 크게 의존합니다. 시장이 여전히 "우월, 열등"의 위치에 있다면 이 분야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더욱이 베트남에서는 가상 모바일 네트워크 모델이 아직 상당히 생소하며, 경쟁적인 시장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관리 정책 개선이 여전히 필요합니다.
한 소식통은 VietNamNet 에 가상 모바일 네트워크 참여 조건에 대한 명확한 정책이 필요하며, 인프라를 갖춘 네트워크 운영자가 가상 네트워크가 시장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장벽을 설정하거나 어려운 시장으로 밀려나는 상황을 피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2010년 정보통신부는 VTC,FPT 등 다수의 가상 이동통신망(VMC)에 대한 라이선스를 취득했습니다. 라이선스에 따르면 VTC는 EVN Telecom의 3G 인프라를 기반으로 모바일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내 2G 네트워크와 로밍할 예정입니다. 당시 VTC의 자회사인 VTC Digicom은 EVN Telecom의 3G 인프라를 기반으로 모바일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VTC는 이 네트워크 외에도 EVN Telecom의 3G 네트워크가 도달하지 못한 지역까지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다른 모바일 네트워크와의 로밍 옵션을 연구할 예정입니다. FPT는 가상 이동통신망 라이선스를 취득했지만, 당시에는 사업 계획이 없었고 인프라를 갖춘 네트워크 사업자와 협력하지 않았습니다.
당시 정보통신부는 가상 이동통신망은 자체 주파수 대역을 보유하지 않고 다른 이동통신망의 인프라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정보통신부는 이 분야에 참여하는 사업자의 수를 통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자격을 갖춘 사업자에게는 허가를 내줄 것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사업자들은 조용히 이 시장에서 철수했습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