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AM 영향: 철강 부문 수출 가치 4% 감소 예상 철강 산업 수요와 가격 회복, 2024년 낙관적 성장 전망 |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2월 철강 수출액은 15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2024년 2월 철강 수출액은 95만 톤으로 최근 3개월 중 최저치를 기록하며 급감한 데 이어, 6억 7,800만 달러에 달해 전월 대비 물량은 18.1%, 금액은 17.6% 감소했지만, 2023년 동기 대비 물량은 19.3%, 금액은 1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결과로 해석됩니다.
2024년 2월 평균 수출강철 가격은 톤당 713달러로 전월 대비 0.6% 상승했으나,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5.6% 하락했습니다. 2024년 첫 두 달 동안 평균 수출가격은 톤당 711달러로 전월 대비 1.7% 하락했습니다.
2개월 만에 수출 50% 가까이 늘어…철강업계 '극심한 위기' 극복할까? |
반면, 2024년 2월 모든 종류의 철강 수입량은 120만 톤, 금액으로는 8억 9,200만 달러로 추산되는데, 이는 전월 대비 수량으로는 19.4%, 금액으로는 15.8% 감소한 수치이며,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수량으로는 43.1%, 금액으로는 32.4% 증가한 수치입니다.
2023년은 철강 산업에 있어 수요 급감으로 생산 및 수출에 차질이 발생하면서 기복이 심한 한 해였습니다. 하지만 작년 4분기 이후 회복세를 보이며 올해 철강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베트남 철강협회의 최근 전망에 따르면, 올해 국내 철강 소비량은 2023년 대비 6.4% 증가한 2,16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중 건설용 철강 소비량은 최대 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건설용 강철은 철강 산업 회복의 밝은 빛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는 사용 구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두 산업, 즉 토목 건설(건설용 강철 수요의 66% 차지)과 공공 투자(14% 차지)가 2023년 말 이후 긍정적인 회복 신호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 마지막 2개월의 소비 생산량은 이전 달 평균 대비 30% 증가했습니다.
MBS Research는 국내 철강 가격이 2023년 3분기에 바닥을 찍고 2023년 말부터 점차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올해 건설용 철강 가격은 6% 상승하여 톤당 평균 1,500만 동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베트남산 철강과 중국산 철강의 가격 차이는 현재 톤당 30달러에 불과하며, 이는 지난 2년간 평균 톤당 50달러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베트남 철강 제품이 중국산 철강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중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2025년 회복 국면에 접어들면 건설용 강철 가격은 8% 상승해 톤당 평균 1,640만 동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철강 산업의 핵심 투입재인 철광석과 코크스탄 가격은 2023년 말 급등한 후 2024년 2분기 초부터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주요 금융기관들은 향후에도 철광석과 코크스탄의 세계 공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철강 기업들이 2022~2023년의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고 매출총이익률을 개선할 수 있는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입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