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해당 수입품이 인도네시아 국내 생산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했거나 초래할 위험이 있음을 확인하고, 면직물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치를 적용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관련 당사국들이 WTO 세이프가드 협정의 규정에 따라 상기 세이프가드 조치 적용 제안에 대해 조사 기관과 협의하기 위해 등록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조사 결론과 제안된 안전 조치의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Products under investigation: Cotton Fabric including HS codes: 5208.21.00, 5208.22.00, 5208.31.90, 5208.33.00, 5208.51.10, 5208.52.10, 5209.11.90, 5209.21.00, 5209.31.00, 5209.49.00, 5209.51.10, 5209.59.10, 5210.21.00, 5210.32.00, 5210.51.10, 5210.59.10, 5210.59.90, 5211.31.00, 5211.59.10, 5211.59.90, 5212.15.10, 5212.15.90, 5212.21.00, 5212.23.00, 및 5212.25.10.
원고: 인도네시아 섬유 협회.
조사 개시일: 2023년 10월 27일
조사 기간: 최초 조사 기간은 2020~2022년이었으며, 이후 조사 과정에서 2021~2024년으로 갱신되었습니다.
일러스트 사진
조사 결론: 조사 당국은 조사 기간 동안 수입량이 국내 총 생산량 대비 절대적 및 상대적 측면에서 모두 증가했다고 판단합니다. 이러한 수입 증가는 미중 무역 전쟁, 인도의 면화 생산 증가, 베트남의 섬유 생산 능력 확대 등 예상치 못한 여러 요인에 기인합니다. 수입 증가는 심각한 피해를 초래했거나 초래할 위험이 있는 유일한 원인입니다.
국내 제조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국산품 시장점유율 감소, 생산량 감소, 국내 매출 감소, 생산성 및 생산능력 감소로 이어지고 손실과 실업이 발생합니다.
제안된 보호 조치: 위의 결론에 따라 조사 기관은 직물 1미터당 Rp 단위로 계산되는 절대세 형태의 보호 조치를 3개 기간에 걸쳐 적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기간 I: 8,785 Rp/미터에서 21,144 Rp/미터로
기간 II: 8,263 Rp/미터에서 19,898 Rp/미터로
기간 III: 1,781 Rp/미터에서 18,726 Rp/미터로
제안된 보호세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첨부 문서를 참조하세요.
WTO 규정에 따르면, 수입 시장 점유율이 3% 미만이고 총 수입 시장 점유율이 과세 대상 제품의 총 수입량의 9%를 초과하지 않는 개발도상국은 이 조치에서 면제됩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은 수입량이 많아(5.04%) 중국(82.4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므로 이 조치에서 면제되지 않습니다. 이 세이프가드 조치는 인도네시아 관보에 발표된 인도네시아 재무장관의 결정 이후 발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입자, 수출자 및 이해당사자는 통지서 발행일로부터 7일 이내에 서면으로 협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모든 서면 요청은 서면으로 전자적으로 제출해야 하며, 협의 요청 당사자의 이름, 주소,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명시해야 합니다.
해당 사건과 관련된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VTM 부서는 관련 기업이 인도네시아 조사 결론을 연구하고 필요한 경우 협의를 요청할 것을 권고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산업통상부 무역구제국 외국무역구제처(외국무역구제처, 무역구제국 , 주소: 54 Hai Ba Trung, Cua Nam, Hanoi)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담당자: 응우옌 투이. 이메일: thuyngth@moit.gov.vn; nganha@moit.gov.vn .
출처: https://moit.gov.vn/tin-tuc/thong-bao/indonesia-ban-hanh-ket-luan-dieu-tra-tu-ve-doi-voi-vai-cotton-nhap-khau.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