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 민족 지역의 지속 가능한 경제 개발은 목적지일 뿐만 아니라, 포괄적인 변혁의 여정이기도 합니다.
잠재력은 많지만 여전히 "좌초"
꾸어닷 양식 및 서비스 협동조합(반쑤언, 탄호아성)의 르엉 티 마이(Luong Thi May) 씨는 "협동조합의 건멸치 제품은 3스타 OCOP 인증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원자재의 계절적 특성과 제한된 소비 시장으로 인해 제품은 주로 박람회나관광객 을 대상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아직 주요 유통 채널에 진출하지 못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마찬가지로, Nhu Thanh 사( Thanh Hoa )의 농업 및 임업 서비스 협동조합 이사인 Lo Van Bo 씨도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협동조합의 Sai Vang 돼지고기 롤은 3성급 OCOP를 달성했지만, 지금까지 주로 시장이나 일부 소규모 대리점, 또는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되고 있습니다. 경제적 효율성은 잠재력에 비해 부족합니다."
OCOP 제품 개발에 있어 국내 선도적인 지역 중 하나인 꽝닌성에서도 수백 개의 제품이 3~5성급을 획득하는 등 이러한 현상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이곳의 제품 생태계는 매우 풍부하며, 특히 다오탄이족의 황금꽃차, 빈리에우동 당면, 산치족과 따이족 여성이 손으로 짠 비단 등 소수 민족(ET)의 정체성이 강한 제품이 많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풍부한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시장에서 안정적인 입지를 구축하지는 못했습니다.
협동조합뿐만 아니라 많은 개인 사업체들도 비슷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탄키(Thanh Ky) 마을(탄호아(Thanh Hoa))에 있는 전통 잎효모주 공장 소유주인 로 티 히엔(Lo Thi Hien) 씨는 해당 제품이 3성급 OCOP(상업적격심사인증)를 획득했지만, 여전히 소수의 소규모 소매업체를 통해서만 판매되고 있으며 유통망을 확장할 여건이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
위의 실제 사례들을 통해 소수 민족의 농산물과 지역 특산품이 품질이나 문화적 정체성 측면에서 결코 부족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큰 과제는 이러한 제품들이 어떻게 시장의 "맥락"을 파악하고, 안정적인 생산량을 확보하며, 소비 규모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국내외 소비자들과 지속 가능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현대 소비 트렌드의 탈출구와 3가지 핵심 요인
경제학자 보 트리 탄 박사는 토착적 가치와 녹색, 지속 가능하고 인도적인 소비 트렌드를 결합하는 것이 유망한 방향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요즘 소비자, 특히 중산층과 Z세대 청소년은 제품 품질뿐만 아니라 그 제품에 담긴 스토리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오늘날 관광객의 90% 이상이 경험과 관련된 제품을 소비하고 싶어하며, 그보다 더 중요하게는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싶어합니다."
이는 소수 민족 제품에 큰 기회를 열어줍니다. 와인, 브로케이드, 전통 음식 등 각 소수 민족 제품은 고유한 이야기, 문화적 특징, 그리고 대체할 수 없는 "영혼"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소수 민족 제품은 자연, 하늘, 땅과 연관되는 경우가 많으며, 자신의 땅을 이해하고 애착을 가진 사람들이 만듭니다. 이것이 바로 장점입니다. 하지만 약점은 소비자들이 이러한 제품을 어떻게 신뢰하고 접할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라고 보 찌 탄 박사는 강조했습니다.
보 트리 탄 박사: 경제 개발은 문화 보존, 생태계 보존, 사회 정의 보장과 연관되어 이루어져야 합니다.
소수민족 지역의 경제를 지속 가능하고 심층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생산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시장 중심의 사고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핵심 요소가 필요합니다.
첫째는 신뢰와 품질 보증입니다. 소비자들이 소수 민족 지역의 제품을 기꺼이 선택하려면 식품 위생 및 안전, 이력 추적, 지속 가능한 생산 공정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합니다. OCOP, VietGAP, 유기농 또는 국제 표준 인증은 중요한 "여권"입니다.
두 번째는 다차원적 연계입니다. 시장 문제에 직면한 사람들은 스스로 해결해야 할 문제에 직면할 수 없습니다. 기업, 국가, 중개 기관, 그리고 현대적인 유통 시스템의 협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제품을 공급하고, 지역 브랜드를 구축하는 것 등은 강력히 추진해야 할 방향입니다.
세 번째는 경험과 스토리입니다. 관광객과 소비자가 직접 생산 현장을 방문하여 제품을 체험하고, 제품에 대한 스토리를 들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감정적 연결이 형성되고, 이를 소셜 네트워크와 미디어를 통해 확산됩니다. 이것이 바로 "감성 마케팅"이며, 어떤 광고 캠페인보다 더 강력한 영향력을 갖습니다.
보 트리 탄 박사에 따르면, 새로운 맥락에서 소수 민족 지역의 경제 발전은 자본 지원, 기술 교육, 또는 사회 기반 시설 건설에 그칠 수 없습니다. 이는 포괄적이고 통합적이며 심도 있는 변혁 전략이어야 합니다. 경제 발전은 문화 보존, 생태 보존, 그리고 사회 정의 실현과 연계되어야 합니다.
이는 쉽지 않은 과정이지만, 동시에 많은 기회를 열어줍니다. 우리가 사람을 중심에 두고, 토착 가치를 존중하며, 공정한 시장 생태계를 구축하고, 새로운 소비 트렌드와 소통하는 방법을 안다면, 산과 마을에서 생산된 상품은 국내 소비자뿐 아니라 전 세계 소비자에게 다가가 이야기, 정체성, 그리고 국가적 자부심을 담아 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손하오
출처: https://baochinhphu.vn/kinh-te-vung-dtts-bat-mach-thi-truong-gin-giu-ban-sac-102250930094911403.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