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일 오후, 하노이 모이 신문은 온라인 회의와 교류 행사인 " 하노이 , 70년의 건설과 발전"을 개최하여 수도 해방절의 중요성과 역사적 의의, 혁명 투쟁의 영광스러운 전통, 그리고 하노이 당 위원회, 정부, 군대와 인민이 민족 해방 사업과 조국 건설 및 수호에 기여한 위대한 공헌을 확인했습니다.
온라인 교류와 회의에는 역사적 증인, 문화 및 역사 연구자, 전문가, 수도의 젊은 세대 대표 등이 참석했습니다.
귀환일에 특별임무 수행
국방산업부 법무부 전 부장이었던 부이 지아 뚜 대령은 회의와 교류에서 자신의 308사단이 수도를 점령하러 가는 길에 훙 사원에서 호치민 주석을 만나 영광을 얻었고, 호치민 주석으로부터 수도를 점령하라는 임무를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부이 지아 뚜 대령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호 아저씨는 왜 '귀환'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을까요? 우리가 하노이를 떠난다는 것을 알고 계셨기 때문입니다. 프랑스군과 싸우기 위해 수도를 떠나기 전, 우리는 벽에 짧은 구호를 썼습니다. '하노이로 돌아갈 날이 오리라.' 수도가 함락된 날, 제 차는 군사 관리 위원회 위원장 브엉 투아 부(Vuong Thua Vu)와 하노이 군사 관리 위원회 부위원장 쩐 주이 훙(Tran Duy Hung)의 차 두 대에 이어 세 번째로 진입했습니다. 하동(Ha Dong)에서 항저우(Hang Dau), 항응앙(Hang Ngang), 항다오(Hang Dao), 보호(Bo Ho)를 거쳐 꾸어남(Cua Nam)으로 향했습니다."
토론에 참여한 역사적 증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이 지아 뚜 대령(1931년생) - 전 법무부장(국방산업총국)으로 1954년 10월 10일에 수도를 점령한 최초의 군인 중 한 명입니다. 응우옌 투 대령(1933년생) - 수도 점령에 참여한 역사적 증인입니다. 응우옌 반 짝(1932년생) - 1955년 9월 2일에 있었던 퍼레이드에 참여하고 12일 밤낮으로 "하노이- 디엔비엔푸 공중 행진"에 참여했습니다. 응우옌 반 캉(1935년생) - 수도 점령을 위한 청년 자원봉사단 연락 위원회 책임자입니다. 즈엉 티 빈 - 하노이시 전 청년 자원봉사자 협회 전 부회장입니다.
"차량 오른쪽 앞좌석에 앉아 수천 명의 사람들이 우리를 환영하는 기쁨과 행복을 지켜보며 깊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쭝브엉 여학생들이 달려와 우리를 환영하고 꼭 껴안아 주자 더욱 감동했습니다... 정말 잊지 못할 행복한 순간이었습니다." - 부이 지아 뚜 대령
한편, 수도 점령을 위한 청년단 연락위원회 위원장인 응우옌 반 캉 씨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당시 우리는 하노이 점령을 위한 청년 자원 봉사단에 선발되어 약 400명의 인원을 1954년 10월 3일부터 6일까지 하노이로 먼저 파견했습니다. 우리의 임무는 군대가 하노이를 점령하기 전에 하노이 주민들과 접촉하여 진격하는 것이었습니다. 당시 적의 왜곡되고 유혹적인 정보로 인해 임시 점령 지역 주민들과 저항군은 서로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우리의 임무는 모든 사람이 우리 정부의 정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옹호하는 것이었습니다."
응우옌 반 캉 씨에 따르면, 그의 팀은 정부 정책을 설명하는 것 외에도 청소년과 어린이에게 노래를 가르치고, 사람들과 함께 구호를 준비하고 1954년 10월 10일에 귀환하는 군인들을 환영하는 환영문을 만드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1955년 9월 2일 퍼레이드에 자랑스럽게 참여
308사단 수도연대 54대대 269중대 보병소대장이었던 응우옌 투 대령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때 저는 너무나 많은 감정을 느꼈습니다. 전쟁에서 평화로, 분위기가 완전히 달랐습니다. 저항 전쟁 당시 군대는 비밀을 간직한 채 깊은 숲 속에서 밤에 행군했습니다... 이제 평화로 넘어가면서, 첫 번째 감정은 북부 전역이 완전히 해방되고 수도가 무사히 점령되었을 때의 기쁨이었습니다. 두 번째 감정은 하노이 성채를 지키기 위해 60일 밤낮으로 용감하게 싸운 수도연대 병사들과 홍강을 건너 베트박 저항군 기지로 후퇴한 병사들을 기억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 모두 하노이로 빨리 돌아가고 싶었습니다. 거의 모두가 시골에서 온 젊은이들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아직 마을의 대나무 울타리를 벗어나지 못했기에 도시가 어떤 모습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당시 우리는 도시를 다시 보고 싶어 안달이 났습니다. 거리를 걸으며 우리 모두는 모든 것을 설렘과 낯설음으로 바라보았습니다. 게다가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그리움도 있었습니다. 저항의 세월 동안 우리는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 한 통도 없었습니다." - 응우옌 투 대령의 말이다.
1955년 9월 2일의 장엄한 퍼레이드를 위한 훈련 시절을 회상하며, 응우옌 반 짝 씨(1955년 9월 2일 퍼레이드에 참여하여 12일 밤낮으로 "하노이-디엔비엔푸 공중 행진"에 참여)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1955년 퍼레이드는 1954년 10월 10일 오후 코트 코 경기장에서 하노이 군사위원회가 주최한 국기 게양식보다 더 큰 규모의 퍼레이드였습니다."
1955년, 23세의 나이에 응우옌 반 트라크 씨는 312사단 정보대대에서 복무했습니다. 모두가 열병식에 참석할 수 있어서 기쁘고 영광스러웠기에, 어려움과 고난에도 불구하고 낙담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의 부대는 박닌에 주둔하고 있었지만, 하노이로 행군하여 훈련을 했고, 열병식이 끝난 후 기지로 복귀했습니다.
"박마이 공항에서 훈련할 때 햇볕이 너무 뜨거웠지만, 우리 모두는 강하고 키가 컸습니다. 저는 키가 1m70이었지만 부대 열병식에서는 겨우 7등이었습니다. 그 당시 우리에게 가장 특별한 기억은 박마이 공항에서 훈련하는 동안 호 아저씨를 만난 것입니다. 아저씨는 군인들을 격려하며 천천히 부대 대열을 따라 걸으셨습니다... 9년간의 저항 전쟁 끝에, 우리는 모두 호 아저씨를 "호 아저씨"라고 불렀습니다." - 응우옌 반 짝 씨가 전했습니다.
하노이는 위대하고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점차 발전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회의와 교류에 참여한 문화 및 역사 연구자와 전문가: 응우옌 비엣 추크 박사(베트남 조국 전선 중앙위원회 문화사회 자문 위원회 부위원장), 건축가 다오 응옥 응이엠 박사(베트남 도시 계획 및 개발 협회 부회장), 쯔엉 민 티엔 씨(하노이 유네스코 협회 회장)는 하노이가 지난 70년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이룬 성과, 특히 수도의 문화 및 인적 자원 진흥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응우옌 비엣 쭈크 박사는 오늘날 하노이가 지역적 규모뿐만 아니라 문화와 사람이라는 위대한 유산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업적을 달성했다고 언급했습니다. 1,000년이 넘는 역사 속에서 축적된 문화와 인류 발전의 깊이가 하노이가 "양심과 인간 존엄의 수도"로 존경받는 핵심 요소입니다.
"시대를 거쳐 하노이 사람들은 수도를 건설하는 데 있어 끝없는 문화의 원천이었으며, 하노이의 문화가 결코 중단되지 않았음을 증명합니다. 현재 하노이는 놀랍도록 발전했습니다. 도시는 확장되었고, 많은 새로운 거리와 도시 지역이 생겨났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시대를 거쳐 문화적, 인간적 변화에 기여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항상 하노이가 평화의 도시, 영웅적 수도, 창조적인 도시로 발전할 수 있기를 믿고 희망합니다."라고 응우옌 비엣 쭈크 박사는 말했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kinhtedothi.vn/ky-uc-ve-ngay-giai-phong-thu-do-va-cac-buoc-phat-trien-cua-ha-noi.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