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작가 사라 리드만은 그녀의 책 " 세상의 중심에서"에서 응우옌 티 빈 여사에 대해 썼습니다.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의 외무 장관 응우옌티빈이 1973년 1월 27일 프랑스 파리 국제회의센터에서 베트남에 관한 파리 협정에 서명했다. 사진: 반 루옹/VNA |
50년이 흘렀지만,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혁명정부 외무장관이자 임시혁명정부 협상대표단 단장이었던 응우옌티빈 여사의 모습은 베트남을 사랑하고 세계 평화를 지지하는 사람들의 기억 속에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베트콩은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1968년 11월 5일 아침, 일련의 프랑스 신문에는 "베트콩이 파리에 도착했다", "베트콩이 승리했다", "빈 여사가 파리와 세계를 놀라게 했다", "베트콩의 기적적인 상륙" 등의 큰 헤드라인이 실렸습니다. 짙은 분홍색 아오자이를 입고 꽃무늬가 있는 검은색 스카프를 두른 회색 코트를 입은 베트남 여성이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카메라 숲과 그녀를 둘러싼 사람들 사이에 서 있는 사진이 1면에 실렸습니다.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NFL)의 수장이었던 응우옌 티 빈 여사는 예의 바른 태도, 친절하고 온화하며 자신감 넘치는 태도로 당시 그녀를 만난 사람들과 언론에 강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그들은 서로를 돌아보며 "베트콩은 정말 문명화되어 있어요.", "정글에서 온 사람들이 아니에요."라고 말했습니다.
응우옌 티 빈 여사는 애국자 판쩌우찐의 손녀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외국어에 능통하며 사이공에서 오랜 정치 및 활동 경력을 쌓았습니다. 아마도 호치민 주석이 그녀를 협상에 참여하도록 선택한 이유가 바로 이것일 것입니다.
거의 5년간의 협상 끝에 "베트남 공산주의 여왕" 응우옌 티 빈은 정치인, 국제 언론인, 심지어 미국인들의 찬사와 존경을 받았습니다. 100여 개국에서 온 최대 400명의 기자들이 참석한 기자회견을 포함하여 수많은 기자회견을 주재하며 그녀를 직접 만난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자신감 넘치고, 온화하며, 부드러운 말투를 지녔지만, 동시에 매우 확고하고 확고한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뛰어난 외국어 실력과 지성, 날카로움, 그리고 베트남 여성의 온화함과 유연성을 갖춘 응우옌 티 빈은 가장 까다로운 기자들조차 설득했습니다.
많은 서구 언론인들이 그녀에게 비꼬는 질문을 던졌지만, 그녀는 언제나 유연하게 대답했다. 한번은 한 기자가 "공산당 소속이십니까?"라고 물었다. 그녀는 재빨리 "저는 애국당 소속입니다."라고 답했다. "남쪽에 북군이 있습니까?" 그녀는 "베트남 국민은 하나이며,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모두 침략군에 맞서 싸울 의무가 있습니다."라고 답했다. 기자는 다시 "해방 지역은 어디입니까?"라고 물었다. 빈 여사는 즉시 "미국이 폭격하고 포격하는 곳이면 어디든 그곳이 우리의 해방 지역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미국이 왜 폭격을 해야 합니까?"라고 답했다.
협상 과정에서 그녀는 항상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들은 질문할 권리가 있고, 저는 대답할 권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우리 국민의 정당한 투쟁을 더 잘 이해하고 설득할 수 있도록 어떻게 대답하느냐가 중요합니다."
그녀는 나중에 이렇게 말하기도 했습니다. "세심하게 행동하는 법을 아는 여성이라면, 사람들이 당신에게 호감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고, 당신의 입장에 대해 말하고 싶은 것을 들어줄 것입니다."
파리 협정에 서명한 네 사람 중 한 명이었던 순간을 회상하며 그녀는 이렇게 썼습니다. "승전 협정에 서명할 때, 이 중요한 사건을 더 이상 알 수 없게 될 전사한 동포들과 전우들을 생각하니 갑자기 눈시울이 촉촉해졌습니다. 18년간 온 나라가 희생과 고난으로 점철된 정의로운 전쟁을 치른 후, 파리에서 침략군과 직접 맞서 싸우고 승전 협정에 서명하는 것은 제 인생에서 가장 큰 영광입니다. 아마도 제 외교관 생활에서 가장 깊은 기억일 것입니다."
국가의 용감한 여성들
응우옌 티 빈(Nguyen Thi Binh) 여사, 전 당 중앙위원회 위원이자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전 부주석. 사진: 통 낫/VNA |
며칠 전 하노이에서 열린 파리 협정 50주년 기념 엄숙한 행사에서 온 행사장을 감동시킨 순간이 있었습니다. 응우옌 티 빈 여사가 소개되자 행사장 전체가 일어서서 끊임없이 박수를 쳤습니다. 협정 체결 50년이 지난 지금도 베트남 국민의 용감한 여성을 만날 수 있다는 사실에 많은 사람들이 감동의 눈물을 흘렸습니다.
96세의 나이에 그녀는 더 이상 민첩하지 않고 눈은 흐릿하지만, 정신은 여전히 매우 예리합니다. 그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1968년 말, 저는 당으로부터 파리 협상에 참여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지도자들의 신뢰와 이 막중한 책임을 맡겨주신 데 깊이 감사드립니다. 거의 5년 동안 파리 협상에 참여했고, 파리 협정에 서명한 네 사람 중 한 명으로서 임무를 완수했습니다."
파리 협정의 협상 및 서명에 참여한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 대표단 단장은 "파리 협정은 남베트남의 해방과 국가 통일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승리였으며, 약 20년간 전국민이 치열하고 힘겨운 전쟁을 벌인 결과였다"고 논평했습니다. 또한 미국에 맞서 싸우고 나라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바친 군인과 동포들에게 감사를 표했습니다.
응우옌티빈 전 부통령에 따르면, 파리 협정은 베트남의 군사적, 정치적, 외교적 투쟁의 승리이며, 동시에 베트남을 지지하고 베트남과 단결하는 세계 운동의 승리이기도 합니다.
응우옌티빈 여사는 파리 협정의 승리에 결정적인 요인은 호치민 주석과 당 및 국가 지도자들의 뛰어난 리더십이었다고 단언하며, 세계의 단결과 강력한 지지가 베트남에 전장과 협상 테이블에서 더 큰 힘을 가져다 주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응우옌 티 빈 전 부통령은 "협상하면서 싸우는 기술"이 군사적 승리를 협상 테이블에서의 외교적 승리로 바꾸었다면, 우리 국민의 투쟁에 대한 국제적 지지를 얻는 기술은 시대의 힘을 결합하는 기술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결합은 구호가 아니라 현실입니다. "베트남을 지지하는 국제적 움직임은 우리가 협상 테이블에서 적을 공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힘입니다. 독립과 자유를 향한 우리 국민의 확고한 투쟁은 평화와 정의를 사랑하는 전 세계 사람들의 감정과 양심을 움직였습니다."
미국에서조차 처음에는 미국 국민들이 전쟁에 관심이 없었고, 심지어 지지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워싱턴 당국이 일으킨 전쟁의 부당함을 깨달았고, 미국이 전쟁에 점점 더 깊이 빠져들면서 반전 운동은 더욱 강해졌습니다. 다른 나라 사람들이 베트남 전쟁을 이해하고 지지하도록 만든 것은 바로 미국 국민들이었습니다.
당시 국제적 연대를 구축하고 민간외교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파리 협상 당시 전통 아오자이를 입은 베트남 여성 응우옌티빈 여사였습니다.
세계평화협의회(WPC) 전 회장인 소코로 고메스 코엘류 여사는 반전 운동에 함께했던 시절을 이렇게 회상했습니다. "빈 여사는 제가 젊은 학생들이 베트남 전쟁 종식을 요구하는 시위에 참여했던 그 시절에 자주 들었던 이름이었습니다. 당시 빈 여사는 우리 여성들의 상징 중 하나로 여겨졌습니다. 베트남 전통 아오자이를 입었을 때는 작고 우아했지만, 기자회견에 참석할 때는 매우 강인했습니다."
"빈 여사님, 훌륭한 베트남 여성이자 용감한 분이셨습니다. 우리 시대에 그녀는 우리가 배우고 싶었던 빛나는 본보기 중 한 분이었습니다. 빈 여사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읽고 기뻤습니다. 빈 여사는 우리가 베트남에 대해 더 배우고, 이곳의 부당한 전쟁에 대해 알고, 나아가 반전 운동에 동참하여 베트남 침략자들에 맞서 정의로운 싸움을 지지하도록 영감을 주셨습니다."라고 세계평화위원회 회원이자 아시아-유럽 인민 포럼의 평화 및 안보 부문 책임자인 코라손 발데스 파브로스 여사가 말했습니다.
"저에게 파리 협상은 투쟁의 중요한 이정표, 승리를 향한 치열한 지혜의 싸움을 담은 영화와 같았습니다."라고 응우옌 티 빈 여사는 말했습니다. 그 영화에서 그녀는 스릴 넘치고 감동적인 이야기들을 많이 했고, 수많은 위험과 고난을 겪었으며, 심지어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억누르며 파리 협정에 서명한 사람들 중 한 명이자, 그 역사적인 문서에 서명한 유일한 여성, 응우옌 티 빈 여사가 되었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thoidai.com.vn/madame-binh-bo-truong-viet-cong-tren-ban-dam-phan-197555.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