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시장이 "침몰"할까요? 이는 까이랑 수상시장 상인들만의 걱정이 아니라, 깐 토의 "수상 문화"를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의 안타까운 심정이기도 합니다.
상인들은 관대하고 돈을 낭비합니다...
하우 강에 해가 아직 뜨지 않았을 때, 까이랑 수상 시장은 이미 활기를 띠며 부두와 강가에 배들이 가득합니다. 작은 배 세 척을 소유한 "바 도" 씨는 새벽 2시부터 상인들과 개인 구매자들을 수상 시장으로 실어 나르느라 분주했습니다. 끼엔장성 고꾸 아오 출신 상인 짱센(44세) 씨 역시 도매상들에게 파인애플을 배달하느라 분주합니다.
"소매로 파시나요?" 짱센 씨에게 물었더니, 그는 얼굴을 붉히며 낯선 손님을 바라보았다. "소매로 파는 게 아니라, 무료로 나눠주는 건가요?" 짱 씨는 미소를 지으며 잘 익은 향긋한 파인애플 껍질을 재빨리 벗겨 내게 건넸다. 수상시장 상인들이 "관대하고 기꺼이 돈을 쓴다"는 소문을 들었던 터라, 이제 이른 아침 장터 한가운데서 따뜻한 답을 얻은 기분이었다.
타이 씨와 그의 딸이 고객들에게 고구마를 배달하고 있습니다.
카이랑 다리 아래 강변은 이제 활기 넘치는 배 엔진 소리와 나룻배에서 음식, 음료, 식료품을 파는 소리로 가득합니다. 가끔관광선 이 지나가면서 많은 도매상이나 작은 배들이 마치 큰 파도에… 취하기라도 한 듯 격렬하게 흔들립니다.
수상시장의 독특한 특징은 배의 뱃머리에 화려한 대나무 장대가 놓여 있다는 것입니다. 대나무 장대는 강가에 있는 일종의 간판으로, 대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장대 끝에는 상인이 파는 대표적인 상품이 걸려 있습니다. 호박 장대, 수박 장대, 파인애플 장대, 고구마 장대 등이 있습니다.
뱃사공 "바 도" 씨의 남편인 당 반 웃 씨(40세)는 저에게 어려운 질문을 던졌습니다. "'매달아 팔지 않는, 팔지만 매달지 않는'이 뭐죠?"라고 묻더니, 당황한 배 승객의 얼굴을 보고 씩 웃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매달아 팔지 않는 것은 사람들이 옷을 걸어 두는 장대입니다. 보통 어떤 배에 어떤 종류의 장대를 걸어 두느냐에 따라 팔리죠. 파인애플을 팔려면 파인애플을, 호박을 팔려면 호박을 걸어 두는 것처럼요. 하지만 이곳 사람들은 배를 집처럼 쓰고 거기서 생활하기 때문에 옷을 말릴 때도 걸어 두어야 하니, '매달아 팔지 않는'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팔지만 매달지 않는' 것은 잎을 장대에 걸어 두지만 잎은 팔지 않는 배를 말합니다. 배를 걸지 않고 배를 파는 거죠."
파인애플 보트를 탄 Trang Xen 씨
우트 삼촌의 배는 지붕에 마른 야자나무 잎이 드리워진 채 강가에서 흔들리는 빈 배를 지나갔다. 삼촌은 한탄했다. "요즘 시장이 너무 외진 데다, 팔리는 배들이 너무 많아요. 아내와 두 아이를 부양하기 위해 사람들을 실어 나르고 오토바이 택시를 운전하는 등 할 일이 너무 많아요."
과거와 현재, 까이랑 수상시장의 상품은 채소, 과일, 식료품, 신선식품, 조리식품 등 다양한 품목으로 나뉩니다. 시장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또 다른 활동은 과일, 음식, 음료 등 지역 특산품을 상인과 관광객에게 판매하는 배들입니다. 당면, 쌀국수, 만두, 빵, 과일 등을 판매하는 배들은 시장의 "수상" 상품 및 서비스로 분류되며, 멀리서 온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매력이 있습니다.
수상시장의 과일 장수 응우옌 티 트랑 씨
붐비는 페리 시장의 황량한 풍경
상인의 삶보다 더 행복한 삶은 없습니다. 시장에서 쌀을 구하고 강물을 길어오기 위해 바다로 내려가는 것은 상인의 삶을 노래한 민요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른 장터에 도착한 날, 배들은 여전히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었지만 장터 풍경은 한산해 보였습니다. 관광객을 태운 배들은 대부분 새로 만든 제방을 따라 달려갔고, 강물 위에서 위를 올려다보니 높고 하얀 벽만 보였습니다.
짱센 씨는 검은 피부에 44세라는 나이에 훨씬 더 늙어 보입니다. 그는 며칠째 지나가는 관광선과 팔리지 않은 파인애플을 바라보며 슬픈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그의 가족은 끼엔장성 고콰오에 거의 4헥타르에 달하는 파인애플 농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짱센 씨와 그의 형제들은 모두 파인애플 배를 타고 다닙니다. "농사 짓는 것보다 장사가 더 쉽다고 생각해요. 고향에 갈 때마다 파인애플을 사서 바로 떠나요. 제 삶은 주로 배 위에서 이루어집니다."라고 짱 씨는 말했습니다.
오늘날 수상시장에서 젠과 그의 형제는 몇 안 되는 상인으로, 직접 상품을 구매하여 밭에서 배를 타고 까이랑 수상시장으로 운반합니다. 그들은 종종 끼엔장(Kien Giang)으로 가서 파인애플을 사오는데, 약 8시간 동안 배를 몰고 수상시장까지 가서 상인들에게 판매합니다. 젠에게 편의성을 위해 육로로 운송하지 않는 이유를 묻자, 그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이 파인애플은 으깨지기 쉽습니다. 차로 이리저리 쌓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 결국 으깨질 겁니다. 그건 자본 손실이죠. 저는 대대로 배를 만들어 왔고… 그 노력을 수익으로 생각합니다."
Nga 씨(왼쪽)와 그녀의 고객
센 씨의 고향에는 몇 헥타르에 달하는 파인애플 농장이 있는데, 한 밭에서 약 3만 개의 파인애플을 수확합니다. 텃밭에서 파인애플이 떨어지면 다른 밭으로 가서 "데드 프라이스"(일 년 내내 텃밭 주인과 같은 가격으로 사서 손익분기점을 맞추는 방식)를 사옵니다. 파인애플 수확량이 오르면 이익을 내지만, 내리면 걱정에 잠을 이루지 못합니다. 이번처럼 센 씨 형제는 두 척의 배를 타고 수상시장에 가서 약 2만 개의 파인애플을 팔았지만, 5일 동안은 원금을 회수하기 위해 한 밭에 5,000동(VND)에 팔았습니다. "사면 1만 동(VND)에 팔던 게 8천에서 9천 동(VND)에 팔려 나가더군요. 보통 하루 이틀이면 다 팔렸는데, 파인애플 가격이 너무 떨어져서 이번 여행에서 거의 4천만 동(VND) 가까이 손해를 봤습니다." 젠 씨는 시장이 점차 썰물처럼 사라지는 것을 바라보며 먼 곳을 바라보았다.
까이랑 수상시장은 멜론 마을, 카사바 마을, 고구마 마을, 파인애플 마을 등 여러 전형적인 "마을"로 나뉩니다. 보트 소유주들은 주로 하우장(Hau Giang)과 끼엔장(Kien Giang) 지역 출신입니다. 수상시장에는 조부모 세대부터 자녀가 사업을 이어받을 때까지 도매상인들이 있습니다.
고구마 마을에는 쩐 반 타이 씨(43세)의 가족이 있습니다. 타이 씨 부부는 수상시장에서 도매로 판매할 고구마를 실은 배 두 척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타이 씨의 아내인 레 티 낌 응아 씨(40세)는 흙투성이 배 한가운데서 도매상들을 위해 고구마를 정리하느라 분주합니다. 강물에 내리쬐는 강렬한 햇살 아래, 응아 씨는 두꺼운 셔츠를 입고 얼굴을 가렸지만 햇볕에 그을린 피부를 숨길 수 없습니다. 그녀는 땀을 닦으며 이렇게 말합니다. "세 아이 중 한 명은 겨우 열두 살이라 학교를 그만두고 배를 따라가야 하고, 나머지 두 명은 해안에 계신 할머니 댁에 학교에 보내졌어요. 이번에는 시장이 한산하고 관광이 계속돼서 장사가 어려워서 시장을 떠나 육지로 가야 할 것 같아요." (계속)
까이랑 수상시장은 깐토 시 중심부 까이랑 구 레빈 구에 위치해 있습니다. 작가 손남은 시장의 활기 넘치는 모습을 담은 민요를 인용한 적이 있습니다. 까이랑, 바랑, 밤상, 싸노. 사랑해서 배를 샀지. 네가 왔다 갔다 하면서 내 생각을 보게 해 줘...
시간이 흐르면서 메콩 삼각주, 특히 깐토 지역의 수상시장은 다소 쇠퇴했습니다. 이 강 지역의 독특한 문화를 보존하고 홍보하기 위해 2016년 문화체육관광부는 깐토 시의 까이랑 수상시장을 국가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했습니다.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