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5일 포천 지역에서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동안 한국군 K-2 전차가 사격을 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5월 25일 미국과 한국군이 우수한 군사력 을 과시하기 위해 실사격 훈련을 시작했다고 보도했으며, 양국 군인 약 2,500명이 참가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 동북부 포천 지역의 산비탈에 포탄이 쏟아졌고, 전차들이 기동하며 목표물을 향해 사격을 가하면서 연기가 공중으로 피어올랐고, 그 소리가 계곡 전체에 울려 퍼졌습니다.
한국 국방부는 이러한 훈련을 지금부터 6월 중순까지 4차례 더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훈련 중 대형을 이룬 한국군 무인 항공기(UAV)들.
한국 국방부는 성명을 통해 이번 훈련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전면 공격"까지 대응할 수 있는 군사적 역량과 준비성을 입증했으며, "탁월한 전력으로 평화를 유지"하겠다고 다짐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북한은 미국과 남한의 합동 실사격 훈련 계획을 비판하며, 이를 평양에 대한 "전쟁 연습"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지난 몇 달 동안 미국과 한국군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외교적 노력과 제한으로 인해 많은 이전 훈련이 축소된 후, 미 B-1B 폭격기가 참여하는 공중 및 해상 훈련을 포함한 일련의 훈련을 실시했습니다.
또 다른 사건으로, 연합뉴스는 5월 25일 한국이 국산 로켓 누리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해 8개의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으며 우주 개발 프로그램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고 보도했습니다.
KSLF-II로도 알려진 200톤 규모의 누리 로켓은 현지 시간 오후 6시 24분에 고흥 남부 해안 마을에 있는 나로 우주 센터에서 이륙했습니다.
한국 누리호, 5월 25일 발사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해 2차 누리호 발사와 오늘(5월 25일) 3차 발사를 통해 누리호의 성능이 검증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신뢰성 측면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성 발사와 우주 탐사 서비스 가능성 측면에서도 검증됐다는 의미입니다.
그는 주위성 NEXTSAT-2가 남극에 있는 한국의 세종기지와 초기 교신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누리호에 탑재된 7개의 소형 위성 중 하나가 정상적으로 발사되었는지 확인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국의 15억 2천만 달러 규모의 누리 프로젝트는 2010년에 시작되어 2027년까지 계속될 예정이며, 여기에는 3차례의 로켓 발사가 포함됩니다.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