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첫 7개월 동안 태국은 베트남산 과일과 채소를 수입하는 데 1억 2,300만 달러(약 3조 640억 VND)를 지출했는데,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70% 증가한 수치입니다.
베트남 과일 및 채소 협회(VINAFRUIT)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과일 및 채소 수출 2024년 첫 8개월 동안 베트남의 과일 및 채소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약 46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중국은 여전히 가장 큰 시장으로서의 입지를 유지했으며, 베트남으로부터의 과일 및 채소 수입액은 올해 첫 7개월 동안 약 25억 달러에 달해 전년 대비 25% 증가했습니다. 미국과 한국 또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각각 1억 8,900만 달러와 1억 8,800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하여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31%와 51% 증가했습니다.
특히, 일본과 대만(중국)에 이어 6위를 차지했던 태국은 베트남산 과일 및 채소 수입 시장 순위에서 4위로 도약했습니다. 2024년 1~7월 태국의 과일 및 채소 수출액은 1억 2,300만 달러(약 3조 640억 동)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했습니다. 태국은 이 기간 동안 베트남 농산물 구매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국가입니다.

구체적으로 올해 상반기에는 태국 베트남산 롱안, 리치, 두리안 구매가 증가했습니다. 2024년 상반기 태국은 베트남산 두리안 수입에 최대 4,700만 달러를 지출했는데, 이는 2023년 동기 대비 90.5%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베트남산 냉동 두리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두리안 수출량이 급증했습니다.
베트남 과일채소협회(Vietnam Fruit and Vegetable Association) 당푹응우옌(Dang Phuc Nguyen) 사무총장은 베트남은 두리안을 일 년 내내 공급할 수 있는 반면, 태국은 두리안을 계절에 따라(4개월)만 공급한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태국은 엘니뇨로 인한 가뭄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어 두리안 생산량이 감소하고 과일 크기가 원하는 크기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태국은 베트남산 두리안 수입을 늘렸고, 그중 일부는 중국으로 수출되기도 했습니다.
베트남과 태국 간 과일 및 채소 무역은 지난 10년 동안 상당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2014년 태국은 베트남에 과일 및 채소를 가장 많이 공급하는 국가였으며, 중국을 제치고 2019년까지 4억 6,420만 달러에 달하는 수출액을 기록하며 그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2023년에는 태국의 과일 및 채소 수입액이 4,650만 달러로 2019년 대비 90% 감소하면서 베트남 과일 및 채소 공급국 순위에서 태국은 9위로 하락했습니다.
2024년 첫 7개월 동안 베트남은 태국에서 과일과 채소를 수입하는 데 3,200만 달러를 지출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35% 증가한 수치입니다. 주요 품목으로는 대추, 망고스틴, 타마린드, 석류 등이 있습니다.
2014년 태국은 베트남의 과일 및 채소 최대 수출국이었으며, 중국을 제치고 2019년까지 4억 6,400만 달러 이상의 수출액을 기록하며 그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10년 후인 2024년 초, 태국은 베트남의 4번째로 큰 과일 및 채소 수입 시장이 되었습니다.
비나프루트 사무총장은 자유무역협정 체결 및 수입 관세 인하 시, 각국이 국내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기술 장벽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따라 베트남 제조업체와 수출업체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시장의 수입 규정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