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D.VN - 인구 100만 명 이상의 해안 도시 중 78%가 21세기에 바다를 매립하여 토지를 개발했습니다. 동아시아, 서아시아, 동남아시아의 주요 도시들은 지난 20년 동안 평균 수천 헥타르에서 수만 헥타르까지 면적을 확장하여 경제 다각화와 급격한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토지 개간은 경제적 전략이다
20세기에는 토지 개간 활동이 주로 북반구에 집중되었지만, 21세기 초에는 이러한 추세가 중동, 서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동아시아로 뚜렷하게 옮겨갔습니다.
토지 개간의 목적은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수 세기 전 네덜란드 엔지니어들은 홍수를 조절하고 생활과 농업을 위한 땅을 조성하는 "물 관리"의 달인이었지만, 오늘날 토지 개간은 경제적 "용화"를 목표로 하는 분명한 야망을 동반합니다.
비영리 국제지구우주 과학 협회(AGU)의 연구에 따르면, 21세기에 전 세계 해안 도시(인구 100만 명 이상)의 78%가 매립지를 조성했습니다. 매립지의 가장 일반적인 목적은 항만 확장, 인구 증가, 무역, 관광, 산업 수요 충족입니다. 매립지를 활용하여 관광과 녹지 공간을 조성하려는 노력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두바이의 인공섬 팜 아일랜드. 사진 출처 bayut.com |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매립 프로젝트를 실시한 도시로는 상하이(34,978헥타르, 중국), 인천(4,026헥타르, 한국), 오사카(1,005헥타르, 일본), 싱가포르(3,135헥타르), 아부다비(5,408헥타르),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3,604헥타르), 사우디아라비아의 담맘(3,287헥타르) 등이 있습니다.
베트남 바로 옆에 위치한 중국은 1949년부터 대규모로 바다를 매립해 왔습니다. 광둥, 장쑤, 랴오닝, 상하이, 저장 등의 해안선을 따라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21년 현재 중국은 2만 평방킬로미터가 넘는 바다를 매립했습니다.
매립 사업은 뚜렷한 경제적 효율성을 가져왔으며,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2023년 해양 경제는 중국에 약 100억 위안(약 14억 달러 이상)의 경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중 해양 관광은 14억 위안 이상의 경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지난 20년간의 매립을 통해 UAE는 경제 다각화 계획을 신속하게 추진하여 금융 서비스, 부동산, 항공, 레스토랑-호텔, 관광, 항구 및 물류 등 다양한 비석유 부문이 크게 발전하도록 도왔습니다.
2023년까지 비석유 부문이 UAE GDP의 70% 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며, 이는 국가 경제의 지속 가능한 변화를 시사합니다. 두바이만 해도 석유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 미만인 반면, 관광 산업은 GDP의 20%를 차지합니다.
팜 주메이라 이후 인공 섬 건설에 대한 관심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UAE에서는 호텔, 리조트, 독립 쇼핑몰 등 야심 찬 프로젝트들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대부분 페르시아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송도 국제업무지구(송도 IBD) - 한국의 눈부신 성공 사례, 바다 매립 프로젝트 |
UAE의 인공 섬, 오사카 만의 인공 섬에 위치한 간사이 국제공항, 한국의 송도 국제업무단지(송도 IBD) 등 아시아 강대국들이 추진한 인상적인 매립 프로젝트는 모두 초기에는 어려움에 직면했지만, 리조트 관광, 금융 센터, 부동산, 자유무역지대 등 다기능적 계획을 통해 대규모로 추진한 결과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대규모 및 장기 비전
AGU 연구에 따르면, 인구 규모 증가와 해안 지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 증가, 주거, 농업, 산업, 상업 인프라와 녹지 공간에 대한 높은 수요가 토지 매립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습니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전 세계 106개 해안 도시에서 25만 3천 헥타르에 달하는 토지 매립이 이루어졌으며, 이 중 아시아 지역의 매립 면적이 9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강대국들의 뒤를 이어 많은 아시아 국가와 지역들이 장기적인 비전을 바탕으로 토지 매립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습니다.
필리핀 정부는 마닐라만에 총 1만 헥타르가 넘는 19건의 매립 사업을 계획하여 향후 개발을 위한 토지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여기에는 2019년 승인된 3개의 섬으로 구성된 호라이즌 마닐라(419헥타르)가 포함됩니다. 이 사업은 예술-혁신-도시 무역(Art-Innovation-Urban Trade) 세부 사업과 연계하여 4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파사이 마닐라(Pasay Manila) 프로젝트(726헥타르)는 9.2km의 해수면을 추가로 조성하여 연간 85만 명의 관광객과 57만 6천 명의 주민, 그리고 92만 5천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홍콩(중국) 란타우 비전 투모로우 프로젝트의 인공섬 사이 운하 전경. 출처: 입법회 |
가디언에 따르면, 홍콩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 섬 프로젝트 중 하나가 곧 건설될 예정입니다. 홍콩(중국) 정부는 란타우섬 해안에 1,000헥타르(2,500에이커)의 부지를 조성하기 위해 6,240억 홍콩 달러(600억 파운드)를 투자할 계획입니다. 란타우 비전 투모로우 프로젝트는 2025년에 시작되어 7년 후인 2032년에 첫 입주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토지 매립 추세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국가가 기후 변화(네덜란드)로 인한 염수 침투 문제나 "인구 과잉"(싱가포르)의 압력에 대처하기 위해 토지를 매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해안 지역을 확장하거나 인공 섬을 건설하는 것은 중요한 경제 개발 전략으로 여겨집니다.
베트남 개발 공간
베트남은 남북으로 3,000km가 넘는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어 대부분의 해안 지방과 도시가 바다를 매립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의 최신 정보에 따르면, 현재까지 베트남은 19개 지방과 도시에서 약 80건의 바다 매립 프로젝트를 시행했습니다.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는 끼엔장성의 락자만(Rach Gia Bay) 매립 사업을 들 수 있으며, 락자시는 메콩 삼각주에서 가장 살기 좋은 지역으로 거듭났습니다. 또한 끼엔장성 하띠엔시(Ha Tien City)는 2040년까지 더 많은 바다 매립지를 조성하고 인공 섬을 건설할 계획이며, 이 인공 바다와 섬의 총 면적은 11,300헥타르가 넘습니다.
최근 다낭은 자유무역지구 건설을 위한 바다 매립 계획이 승인된 두 번째 도시입니다. 최근 다낭만(Da Nang Bay)에 위치한 다낭 자유무역지구 내 상업 서비스 구역 건설을 위한 바다 매립 연구 지역을 조사한 팜 민 찐(Pham Minh Chinh) 총리는 새로운 토지 기금 조성 및 개발 공간 확장을 위해 자유무역지구 건설을 위한 바다 매립 계획을 연구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다낭은 개발 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바다를 매립하는 정책을 승인했습니다. |
전문가들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해상 매립을 진정한 "바다로 나아가는" 계획, 즉 다낭이 강력한 돌파구를 마련하고 국제적인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는 비장의 카드가 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자유무역지구 건설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처럼 다기능 개발 공간을 확대하기 위한 장기적인 비전과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사실, 다낭은 약 20년 전에 바다에서 땅을 매립하는 정책을 시행했지만, 가치 있는 투자자를 찾지 못했고,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지금까지 2024년 토지법에 따른 해상 침범 행위 규정과 발효된 공식 지침은 베트남의 급성장하는 해양 경제에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광고_2]
출처: https://www.anninhthudo.vn/bi-kip-lan-bien-de-hoa-rong-nen-kinh-te-post596453.antd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