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학생 응우옌 후 후와 응우옌 티엔 주이는 푸옌 직업대학(뚜이호아시)에서 지역 농산물 생산과 거래를 지원하는 기계 6대를 운영하며, 사람들의 경제생활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현실에서의 발명
넓은 연꽃밭이 있는 투이안 구와 동호아 타운(푸옌)에서 자란 후와 두이는 경제적 목적으로 연꽃에 의존하는 농부들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거의 모든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커피 껍질 벗기는 기계
"제 고향은 연꽃 마을입니다. 모든 가족이 연꽃철에 연꽃을 수확하여 생계를 유지합니다. 연심은 가장 인기 있는 상품이지만, 구하기가 매우 어렵고 수작업으로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500g을 생산하는 데 1시간밖에 걸리지 않습니다."라고 티엔 주이 씨는 말했습니다.
두이와 후는 2014년에 작업을 더 쉽게 하기 위해 연꽃 씨앗을 자동으로 껍질을 벗기고 수확 속도를 높이는 기계를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냈습니다.
"둘 다 기계학을 전공해서 관련 원리를 배우고 나면 기계 제작에 적용했어요. 시간이 많지 않아서 밤에 학교 제작실에 남아서 연구하는 경우가 많았죠. 초기 예산은 500만 동(VND) 정도로 매우 제한적이었고, 철강은 선생님들의 지원으로 제작했기 때문에 기계를 사용하기 쉽고 사람들이 가까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을 연구해야 했어요."라고 후 씨는 말했다.
알로에 베라 필러 및 슬라이서
후 씨는 기계를 만들었던 기억에 남는 순간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기계의 효율을 테스트하기 위해 연꽃을 많이 사서 테스트하곤 합니다. 그런데 그땐 비수기라 아무도 팔지 않아서 여러 연꽃 밭을 돌아다니며 기계를 테스트해야 했습니다."
기계가 완성되자 후와 두이는 사람들에게 직접 사용해 보라고 가져왔습니다. 처음에는 경험이 부족한 두 "엔지니어"를 믿지 못해 모두가 망설이며 거부했습니다. 후와 두이가 기계가 제대로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자세한 사용 설명서를 제공한 후에야 사람들은 기계를 사서 사용했습니다.
후우(Huu)와 주이(Duy)에서 자동 연꽃 껍질 제거기 두 대를 구매한 동쑤언(Dong Xuan) 구 탄호아(Tan Hoa) 마을(푸옌(Phu Yen)) 농부 레 탄 타오(Le Thanh Tao) 씨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수확기에는 종종 실크 껍질을 벗기고 연꽃 속을 오랫동안 꺼내는데, 생산성이 별로 좋지 않습니다. 이 기계를 사용하면 작업 속도가 이전보다 3배나 빨라졌고, 디자인도 간결하고 가격도 저렴해서 다음 수확기에 더 구매할 계획입니다."
수천만 동 상당의 기계
두 남학생은 연꽃 껍질 벗기는 기계 외에도 반자동 커피 로스팅, 알로에 베라 껍질 벗기기 및 다지기, 자동 나사산 드릴링, 바다 쓰레기 수거 등 다양한 기계를 제작하고 연구하고 있으며, 매달 지역 사업체에 주문하며 가격은 기계당 1,000만~2,500만 VND입니다.
"각 기계는 크기가 작고 면적이 1 제곱미터 도 안 되지만 효율은 거의 90%에 달합니다. 예를 들어, 알로에 베라 껍질 벗기고 깍둑썰기 기계는 1시간 만에 100kg의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데, 이는 수작업으로 하는 것보다 10배 이상 빠릅니다. 현재 두 회사 모두 단순히 원료를 판매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가공 과정을 돕기 위해 연꽃 가루 제조 기계를 연구하고 있습니다."라고 후 씨는 말했습니다.
연꽃 껍질 벗기는 기계를 들고 있는 후우(왼쪽)와 두이
두 남학생을 지도하고 동행한 푸옌 직업대학 기계공학부 강사이자 기계공학자인 응우옌 탄 퉁 씨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후와 두이는 가정 형편 때문에 기술만 배울 수 있었지만, 두 사람 모두 열정이 넘치고 사람들을 위한 다양한 기계를 개발하는 데 열정적입니다. 두 사람은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학교에 남아 서류를 읽거나 열심히 일하는 경우가 많아 자신에게 신경 쓰지 않습니다. 저는 두 사람의 미래가 매우 성공적일 것이라고 믿습니다."
Duy는 자신의 연구 비법을 공유하며, 외출, 공부, 업무 등 어떤 상황에서도 항상 작은 노트를 가지고 다니며 새로운 문제나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바로 적어서 실행에 옮긴다고 말했습니다. "장기적으로 지속하려면 공부를 잘하고 열정을 가져야 합니다. 자료를 읽을 때는 제 생각이 제한되지 않도록, 특히 사회에 변화를 가져오거나 이로운 일을 하고 싶기 때문에 폭넓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라고 한 남학생은 말했습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