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만 종의 외래종이 매년 4,000억 달러 이상의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전 세계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방글라데시 뱃사공들이 2014년 부리강가 강에서 울창한 수레국화 속을 항해하고 있다. 사진: AFP
유엔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가 9월 4일에 발표한 광범위한 과학적 평가에 따르면, 농작물과 숲을 파괴하고, 질병을 퍼뜨리고, 생태계를 교란하는 침입종이 전 세계적으로 전례 없는 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인류는 아직 이러한 흐름을 멈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 AFP에 따르면, 이로 인해 연간 4,000억 달러 이상의 피해와 소득 손실이 발생하는데, 이는 덴마크나 태국의 GDP와 맞먹는 규모이며, 여전히 과소평가된 수치일 수 있습니다.
평가에서는 원래 서식 범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나타난 외래종 37,000종 이상을 나열했는데, 이 숫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1970년 이후 10년마다 피해가 4배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경제 발전, 인구 증가, 그리고 기후 변화는 생물학적 침입의 빈도와 규모를 증가시키고 외래종의 영향력을 증대시킬 것이라고 평가는 밝혔습니다. 현재 이러한 침입을 관리하기 위한 법률이나 규정을 갖춘 국가는 17%에 불과합니다. 종의 확산은 인간 활동이 자연계를 크게 변화시켜 지구를 새로운 지질시대인 인류세(Anthropocene)로 몰아넣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입니다.
많은 외래 침입종은 인간에 의해 의도적으로 유입됩니다. 예를 들어, 수초는 벨기에 관리들이 동아프리카 르완다의 정원 장식용으로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식물은 1980년대에 카게라 강으로 유입되어 한때 빅토리아 호의 90%를 뒤덮었습니다. 항해를 방해하고, 수생 생물을 질식시키고, 수력 발전 댐의 가동을 방해하고, 모기의 번식지를 조성했습니다.
미국 플로리다주의 에버글레이즈는 침입성 16피트 버마 비단뱀, 흰 메기, 리고디움 미크로필룸 양치식물, 브라질 후추나무 등 애완동물과 관상용 식물을 도입한 후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토끼는 19세기에 사냥과 식용으로 호주와 뉴질랜드에 도입되었습니다. 그러나 토끼는 빠르게 번식하여 토종 식물을 먹어치우고 서식지를 파괴하며 많은 토종종의 생존을 위협했습니다.
그러나 외래종은 종종 화물선에 "히치하이킹"하는 등 우연히 새로운 땅에 도착합니다. 지중해에는 수에즈 운하를 통해 홍해에서 이동하는 쏠배기(쏠배기)와 카울레르파 해초(Caulerpa seagrass)와 같은 많은 외래 어류와 식물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버마 비단뱀은 1980년대에 플로리다에 도입되었습니다. 사진: 마이애미 헤럴드
IPBES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과 북미는 세계에서 침입성 외래종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입니다. 그 주요 이유는 두 지역의 무역량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베트남에서는 2019년에 천연자원환경부가 19종을 포함한 침입 외래종 목록과 61종을 포함한 침입 외래종 목록을 식별하고 공표하기 위한 기준을 규정하는 회람을 발행했습니다.
19종의 침입 외래종은 미생물(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무척추동물(황금사과달팽이 등), 어류(모기먹는 물고기 등), 양서류-파충류(붉은귀거북 등), 조류-포유류(남미비버 등), 식물(물히아신스 등)의 6개 그룹으로 나뉩니다. 침입 외래종 목록에는 무척추동물(미국흰나비, 꽃게 등), 어류(흰몸병어, 호랑이물고기 등), 양서류-파충류(표범개구리, 나무타기갈색뱀 등), 조류-포유류(족제비, 갈색다람쥐 등), 식물(자이언트물히아신스, 덩굴데이지 등)의 5개 그룹 61종이 포함됩니다.
9월 4일 IPBES 보고서는 외래 침입종이 기록된 동식물 멸종의 60%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른 원인으로는 서식지 감소, 지구 온난화, 오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서로 상호작용합니다. 기후 변화는 외래종을 새롭게 따뜻해진 해역이나 육지로 밀어 넣습니다. 그곳의 토착 생물들은 한 번도 접하지 못한 침입자에게 취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지난달 하와이 마우이 섬 라하이나 마을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산불은 수십 년 전 가축 사료로 도입되어 현재 확산되고 있는 외래종 풀이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지난 12월 몬트리올에서 체결된 생물다양성 보호 국제 조약은 2030년까지 침입 외래종의 확산 속도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IPBES 보고서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을 제시하지만, 성공 가능성은 평가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세 가지 방어선이 있습니다. 예방, 박멸, 그리고 첫 번째 방어선이 실패할 경우의 통제/봉쇄입니다.
투 타오 ( 합성 )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