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1일, 유엔 주재 러시아 대표부 차석인 드미트리 폴랸스키는 모스크바가 유엔과 터키가 중재한 곡물 거래에 다시 가입할 준비가 되었지만, 서방 국가와 우크라이나가 오랜 의무를 이행한다는 조건 하에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곡물 수확 활동.
흑해 이니셔티브에 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기자회견에서 연설한 폴리안스키는 러시아가 이 협정에서 탈퇴하기로 한 결정은 "아무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하며 모스크바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아무런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폴랸스키 씨는 러시아가 세계 식량 공급에 있어 곡물 거래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으며 "러시아의 이 거래 참여에 대한 모든 기존 합의된 원칙이 예외 없이 완전히 이행될 경우에만 복귀를 고려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단언했습니다.
폴리안스키 씨는 러시아의 상황을 열거하며, 세계 시장에 대한 곡물 및 비료 수출에 대한 제재는 "말로만 끝나지 않고 실질적으로" 해제되어야 하며, 이 부문에 관여하는 러시아 금융 기관에 대한 모든 장애물도 제거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여기에는 SWIFT 지불 시스템과의 재연결도 포함됩니다.
외교관은 또한 러시아가 농업 기계용 예비 부품과 구성품의 원활한 공급을 요구하고 있으며, 운송선박과 국가 식량 수출 보험과 관련된 모든 문제의 최종 해결을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다른 요구 사항은 지난달 심각하게 손상된 톨리아티-오데사 암모니아 파이프라인 복구를 포함하여 러시아 비료 수출 확대가 차질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농업 부문과 관련된 모든 러시아 자산을 반환해야 합니다.
폴리안스키 씨에 따르면, 마지막 조건은 곡물 거래 자체가 "원래의 인도주의적 성격으로 회복"되어야 하며 부유한 나라를 더욱 부유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개발도상국의 식량 부족을 해결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스크바는 7월 17일 만료된 흑해 곡물 협정에서 공식적으로 탈퇴했습니다. 크렘린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이 협정을 "일방적인 게임"이라고 표현하며 러시아의 요구 사항은 하나도 충족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조치에 따라 러시아 국방부는 흑해의 우크라이나 항구로 향하는 모든 선박을 "잠재적인 군용 화물선으로 취급"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에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모스크바가 흑해를 "위험 구역"으로 만들려 한다고 비난하며, 해당 지역에서 러시아로 향하는 모든 선박에 유사한 경고를 발령했습니다.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