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에서 발견된 민물 달팽이 종은 제거한 후에도 눈이 완전히 다시 자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황금사과달팽이(Pomacea canaliculata)의 이 특별한 능력은 생물학자 앨리스 아코르시 연구팀에 의해 8월 6일 Nature Communications 저널에 발표되었으며, 인간의 안구 질환과 부상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열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캠퍼스에서 근무하고 있는 아코르시는 새로운 눈은 한 달 안에 다시 자랄 수 있지만, 뇌와 완전히 연결되고 시력을 회복하는 데는 약 3개월이 걸린다고 말했습니다.
"인간은 눈의 손상된 부분을 재생할 수 없으며, 눈 전체를 다시 키울 수는 더더욱 없습니다." Accorsi를 지도한 Stowers 연구소의 Alejandro Sánchez Alvarado 교수의 말입니다.
특별한 점은 달팽이의 눈이 각막, 수정체, 망막을 포함한 "카메라"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인간의 눈과 유사합니다. 또한, 달팽이와 인간 모두 PAX6 유전자를 포함하여 동일한 유전자를 사용하여 눈을 형성합니다.
연구진이 CRISPR/Cas9를 사용하여 해당 유전자를 불능화시켰을 때, 달팽이는 눈이 발달하지 못했고, 먹이를 먹거나 움직이는 것도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하지만 먹이를 먹으면 생존했습니다. 이는 PAX6가 신경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이는 과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수십 년이 걸리는 것과 달리 단 몇 년 만에 연구용 유전자 변형 달팽이 품종을 만들어낸 최초의 사례입니다.
인간의 눈 재생은 아직 먼 미래의 일이지만, 연구자들은 황금사과달팽이가 이 분야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캠퍼스의 안과 전문의 헨리 클라센은 이번 발견이 환영할 만한 신호라고 말했습니다. "적어도 우리는 '무엇이 문제인가? 인간도 비슷한 경로를 따르고 있는가? 그리고 그러한 재생을 방해하거나 막는 유전자가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코르시는 그 비밀은 유전자가 언제 어디서 활성화되는지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인 "분자 스위치"에 있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간은 그러한 스위치를 가지고 있지만 어떻게 사용하는지 모르거나, 아예 가지고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산체스 알바라도 교수는 이렇게 비유했습니다. "문제는 달팽이 재생의 음악을 이해하고, 그 음악을 해석하는 것입니다. 오케스트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유전자도 마찬가지지만, 적합한 지휘자를 찾아야 합니다."
출처: https://www.vietnamplus.vn/oc-buou-vang-moc-lai-mat-mo-ra-hy-vong-phuc-hoi-thi-luc-cho-con-nguoi-post1054664.vnp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