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주체가 직접 소개하는 소수 민족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고 밀접한 활동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유용한 여름 놀이터를 조성하고자, 7월 1일부터 31일까지 베트남 민족문화관광 촌(하노이 도아이푸옹 사)에서 "마을로 가서 전통 문화를 체험하다"라는 주제로 7월 활동이 진행됩니다.
이 놀이터는 또한 지역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고취하고, 54개 베트남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공동체의 "공동의 집"에서 체험 활동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람들의 문화와 관습을 소개합니다.
이에 따라 눙족, 타이족, 몽족, 다오족, 무옹족, 라오족, 타이족, 코무족, 타오이족, 바나족, 쏘당족, 자라이족, 꼬뚜족, 라글라이족, 에데족, 크메르족 등 16개 소수민족에 속하는 100여 명과 마을에서 매일 사람들이 활동하는 11개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이 7월 행사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마을에서 매일 일어나는 주제를 통해 여러 민족이 전통 문화를 소개하고, 방문객이 건축, 의상, 민요와 춤, 의식, 축제, 공연 유형, 악기, 민속 게임에 대해 배울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각 마을은 체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화 주체들은 플레이어들이 집으로 가져갈 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관광객들과 소통합니다. 이 과정에서 관광객들은 다양한 민족 공동체와 관련된 문화 생활과 이야기를 접하게 되며, 이를 통해 아이들은 각 민족의 전통적 가치를 더 잘 이해하고, 고향에 대한 애정과 배우고 경험하고자 하는 열정을 키울 수 있습니다.

특히 주말에는 크메르족이 우기(雨派) 의식(우기 의식이라고도 함)을 거행합니다. 이 의식은 부처님 시대부터 이어져 온 의식으로, 승려들이 3개월간의 우기 안거에 들어가기 전에 "우기 안거"를 받아 머무는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명절에는 불교 신도들이 탑에 모여 스님들께 필요한 물품을 바치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3개월 동안 우기 동안 탑에 불을 밝히는 큰 양초입니다. 이 날은 탑에서 우기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크메르 사원의 불교 신도들은 우기 동안 스님들께 필요한 물품을 바칠 준비를 하며 평화로운 우기를 기원합니다.
그 밖에도 다음과 같은 활동이 있습니다. 마을에서는 매일 여러 민족의 민요와 춤 프로그램인 "원주민의 메아리"를 열고, 여러 민족의 전통 악기를 소개하고 가르칩니다(특히 바, 쏘당, 타이 등 전통 악기 연주에 강점이 있는 마을을 대상으로).
주최측에 따르면, 전통 문화 체험 활동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실내에서는 만다린 네모, 바둑, 대나무 인형 놀이를, 실외에서는 죽마 걷기, 대나무 장대 춤, 그네 타기, 시소 타기 등 다양한 민속 놀이를 즐길 수 있습니다. 간단한 놀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연과 동물을 직접 체험하고 배우고 탐구하며, 사고력, 창의력, 민첩성을 기르고 우정과 가족애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www.vietnamplus.vn/ve-lang-cac-dan-toc-viet-nam-trai-nghiem-van-hoa-truyen-thong-dan-gian-post1047375.vnp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