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DC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삼성은 2분기에 5,800만 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하여 전년 대비 7.9% 증가했습니다. 이로써 삼성은 세계 시장 점유율 19.7%를 기록하며 선두 자리를 유지하며 주요 경쟁사들을 크게 앞지르고 있습니다.
한편, 애플은 4,640만 대의 아이폰을 출하하며 2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2024년 동기 대비 1.5% 소폭 증가한 수치이며, 시장 점유율 15.7%에 해당합니다. 특히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한 시장인 중국에서의 애플 판매량은 1% 감소했는데, 이는 중국 사용자들이 가격 경쟁력이 더 높은 국산 브랜드와 제품을 점점 더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신흥시장에서의 강력한 성장 덕분에 애플은 여전히 전반적인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지만, 삼성과의 격차는 점차 벌어지고 있습니다.
갤럭시 AI, 삼성의 빠른 성장을 돕다
IDC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의 지난 분기 성공은 중급형 세그먼트에 속하지만 이전에는 플래그십 라인에만 등장했던 Galaxy AI 기능이 통합된 Galaxy A36과 Galaxy A56 제품 시리즈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DC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부문 부사장 프란시스코 제로니모는 "프리미엄 AI 기능을 중저가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삼성은 사용자 기반을 확대하고 진정한 AI 경험에 대한 수요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호기심은 많지만 프리미엄 모델의 가격에 대해서는 여전히 경계심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효과적입니다."
샤오미, 비보, 트랜션이 바로 뒤를 따릅니다.
3위는 샤오미가 4,250만 대를 판매하며 0.6%의 소폭 성장에도 불구하고 시장 점유율 14.4%를 차지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비보(2,710만 대)와 트랜션(2,510만 대)이 뒤따랐는데, 두 회사 모두 아시아와 아프리카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는 브랜드입니다.
주요 브랜드들이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했지만, 전체 시장은 1% 성장에 그쳐 2분기 총 판매량은 2억 9,520만 대에 그쳤습니다. 이는 여러 국가가 인플레이션, 실업률, 그리고 소비 심리 위축에 직면한 상황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결과입니다.
중국 시장은 여전히 병목 현상으로 남아 있습니다.
애플뿐만 아니라 많은 대기업들도 지난 분기 중국에서 매출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IDC는 다른 지역에서는 긍정적인 실적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한 실적이 글로벌 성장률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향후 시장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 2분기는 2013년 이후 처음으로 8분기 연속 성장세를 기록하며 업계의 지속 가능한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IDC는 중간 가격대 부문의 AI 지원 기기가 다음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이 부문의 기기를 대다수 사용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s://baolaocai.vn/5-hang-nao-dang-dan-dau-thi-truong-smartphone-toan-cau-post648786.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