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방콕에서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왕이 중국 외교 부장 간의 특별 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회담이 태국, 특히 아세안 전체의 독립적인 외교 정책에 대한 입장을 재확인하는 자리라고 평가합니다.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초강대국 간의 경쟁은 최근 몇 년 동안 경제, 안보, 군사 분야 에서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태국: 미국과 부상하는 중국 사이의 지형 변화』의 저자 벤자민 자와키에 따르면, 이번 회담은 워싱턴과 베이징이 태국의 역할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잘 보여줍니다.
설리번 장관과 왕 부장은 태국에서 열린 회담에서 이란, 홍해 주변 충돌, 대만 해협 안보, 미얀마, 북한, 그리고 남중국해 정세 등 다양한 지정학적 현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두 정상은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소통을 이어가기로 약속했습니다. 향후 추가 회담도 계획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봄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를 할 것으로 예상되며, 앤서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향후 몇 달 안에 베이징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태국 관리들에게는 이번 회의 결과 외에도, 이는 큰 지정학적 승리이자 모든 국가의 친구이자 누구의 적도 아니라는 원칙에 따라 태국과 ASEAN 전체의 편을 들지 않는다는 정책을 재확인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신임 태국 총리 스레타 타비신에게 있어, 고위급 미국 관리의 방콕 방문은 오랜 냉담함 이후 워싱턴과 방콕의 관계가 회복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스레타 타비신이 총리로 선출되기 전, 워싱턴은 안보 협력을 축소하고 태국에 대한 수백만 달러 규모의 군사 지원을 철회했습니다. 스레타 타비신이 총리가 된 후, 태국 총리가 2023년 뉴욕 유엔 총회에서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잠시 회동할 수 있을 만큼 관계가 개선되었습니다. 왕 총리와의 방콕 회담 전, 설리번 총리는 주최측인 스레타 총리와 스레타 총리 내각의 여러 구성원을 만났습니다.
다른 많은 아세안 회원국들과 마찬가지로 태국은 현재 미국 및 중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태국의 최대 교역국으로, 2023년까지 교역 규모가 1,3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3,900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이 중 약 1,100만 명이 중국인이었습니다. 왕이 중국 외교부 장관은 방콕을 방문하여 파른프리 바히다-누카라 태국 외교부장과 함께 무비자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태국과 중국 국민의 상호 방문이 더욱 편리해졌습니다.
분석가들에 따르면, 지난 수년간 이 지역 국가들은 세계 최강대국인 두 나라 간의 관계가 점차 악화되는 것을 상당한 우려 속에 지켜보아 왔습니다. 아세안(ASEAN)의 경우, 미중 경쟁이 건전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입니다. 따라서 위의 회담과 앞으로 열릴 미중 고위급 회담들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두 강대국이 대립 대신 대화를 이어가기를 기대하게 만듭니다.
칸 민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