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조 2,000억 달러 규모의 기술 기업 엔비디아의 수장인 젠슨 황은 이상한 "고백"을 합니다. 그는 영화 전체를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영화의 내용이 아니라 그의 뇌, 즉 멈추지 않는 사고 기계에 있습니다. 쉴 때조차 그의 머릿속은 코드, 칩 아키텍처, 그리고 인공지능의 미래를 위한 전략들을 생각하느라 분주합니다.
그는 스트라이프 CEO 패트릭 콜리슨과의 대화에서 "영화를 보고 앉아 있어도 아무것도 기억나지 않아요. 정신이 일에 쫓기거든요."라고 인정했습니다.
지금 다시 화제가 되고 있는 이 솔직한 고백은 단순한 일화 그 이상입니다. 엔비디아를 세계 정상으로 끌어올린 놀라운 열정을 엿볼 수 있는 창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은퇴를 생각할지도 모르는 62세의 젠슨 황은 "눈을 뜨는 순간부터 잠들 때까지" 주 7일 일합니다. 그에게 "워라밸"이란 없습니다. 오직 "일은 곧 삶"이라는 단 하나의 진실만 있을 뿐입니다.
이러한 거의 절대적인 헌신이 엔비디아의 눈부신 성장의 주요 동력 중 하나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게이머용 그래픽 카드 전문 기업이었던 엔비디아는 AI 분야를 장악하는 거대 기업으로 탈바꿈하여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 같은 거대 기업을 제치고 세계 최대 시가총액을 자랑하는 기업이 되었습니다.
4조 2천억 달러라는 수치는 메타와 아마존을 합친 것보다 더 큰 규모로, 가장 큰 의미를 지닙니다. 지난 5년간 이 회사의 주가는 1,600% 상승했는데, 이는 거의 전례 없는 성과입니다.
하지만 그 성공은 무엇에 기반한 걸까요? 잠 못 이루는 밤, 망가진 휴가, 그리고 항상 "작업 모드"에 있는 뇌입니다.
하지만 젠슨 황의 일이 끝없는 회의와 지루한 이메일만 주고받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입니다. 그에 따르면, 그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미래를 상상하고 꿈꾸는 것입니다.
"가끔 미래를 그려보며 '이렇게 하고, 저렇게 하면 어떨까?'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물론 일이지만, 꿈과 포부를 담은 일이기도 하죠."라고 그는 말했다.
황의 작업은 끊임없는 사고의 과정이며, 미래와의 끝없는 대화입니다. 그는 단순히 회사를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AI가 모든 것의 핵심이 되는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고자 합니다. 그의 이러한 집념은 단순히 사업 운영에 대한 압박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자신의 회사가 인류의 차세대 기술 혁명을 이끌어갈 열쇠를 쥐고 있다는 깊은 믿음에서 비롯됩니다.

CEO 젠슨 황에게는 영화 한 편을 보는 것조차 그의 뇌가 끊임없이 수조 달러 규모의 산업의 미래에 대해 생각하기 때문에 "사치"가 됩니다(사진: 게티).
"전사" 문화와 휴식의 꿈
젠슨 황의 '일해서 사는 것' 철학은 그 자신뿐 아니라 엔비디아의 기업 문화에도 적용됩니다. 이곳은 9시부터 5시까지 일하는 고된 일을 찾는 사람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여러 전직 직원들은 직원들이 "전사"가 되어야 한다는 암묵적인 기대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엔지니어들은 일주일 내내 새벽 1시나 2시까지 일할 의지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회의의 압박감은 너무 심해서 논쟁으로 번질 수도 있습니다.
황 회장은 자신이 엄격한 상사라는 사실을 부인하지 않습니다. "특별한 일을 하고 싶다면, 쉬운 일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라고 그는 60 Minutes와의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이는 의식적인 타협입니다. 고강도 노동에 대한 보상은 매력적인 급여, 역동적인 환경, 그리고 AI 혁명의 중심에 설 수 있는 기회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단순히 돈 때문이 아니라 역사의 일부가 되어 위대한 것을 만들어내는 데 기여하기 위해 회사에 남습니다.
흥미롭고도 아이러니하게도, 일과 삶의 균형이 없는 이 남자는 자신만의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균형이 유지될 수 있는 미래를 만드는 것입니다. "엔비디아를 AI 거물로 만들고 싶습니다."라고 황은 말합니다. 그의 비전은 단순히 칩을 판매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그는 설계부터 공급망, 전략에 이르기까지 회사의 모든 내부 운영을 인공지능으로 제어하고 최적화하기를 원합니다.
그 기계가 제대로 작동하면 엔비디아의 규모를 기하급수적으로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반복적인 작업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그게 가능해진다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그러면 일과 삶의 균형을 잘 잡을 수 있을 거예요."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일 중독적인 철강 CEO의 이미지 뒤에는 자유를 갈구하는 사람이 숨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자유는 자신의 일을 대신할 수 있을 만큼 완벽한 기계를 만드는 임무를 완수하는 데서 오는 자유입니다.
디지털 시대의 균형에 대한 교훈
젠슨 황의 이야기는 결코 고립된 이야기가 아닙니다. 이 이야기는 성공하는 경영자들의 세계에서 다소 가혹한 법칙을 보여줍니다. 탁월한 성공에는 탁월한 희생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전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습니다. "스포츠, 음악, 사업, 정치 등 어떤 분야에서든 성공하고 싶다면, 완전히 불균형한 시기가 있을 것입니다. 그저 그 목표를 위해 온 마음을 다해 일할 뿐입니다."
마찬가지로 That's It Nutrition의 CEO인 리오르 루웬스타인은 수백만 달러 규모의 사업을 일구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업무와 단절된 적이 없다"고 인정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Scale AI의 공동 창립자인 루시 가오는 젊은 세대에게 더욱 깊이 생각해 볼 만한 조언을 남겼습니다. "떠나고 싶지 않은 직업을 선택하세요."
어쩌면 문제는 "균형"이 아니라, 그 균형에 맞춰 나아갈 만큼 큰 사명을 찾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젠슨 황에게 엔비디아는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 정체성이자 삶의 방식입니다. 그와 회사 사이의 경계는 완전히 모호해졌습니다.
결국 젠슨 황의 4조 2천억 달러 도박은 단순히 돈이나 기술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삶의 방식, 헌신의 철학에 관한 것입니다. 그는 미래를 건설하는 유일한 방법은 바로 지금, 그 미래를 온전히 사는 것이라고 자신의 목숨을 걸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쩌면 그 미래가 구체화되고, 거대한 "엔비디아 AI"가 스스로 작동할 때, 그 미래 최고 설계자는 영화 전체를 감상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출처: https://dantri.com.vn/kinh-doanh/dua-nvidia-cham-moc-4200-ty-usd-ceo-jensen-huang-da-cay-co-nao-20250722203645750.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