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tnam.vn - Nền tảng quảng bá Việt Nam

예술가 Le Thiet Cuong: '친절은 항상 지역 사회를 하나로 묶는 기둥입니다'

Báo Thanh niênBáo Thanh niên14/10/2024

하노이 구시가지의 아들이 사랑하는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하노이의 많은 "문인"들에게도 친숙한 곳입니다. 리꾸옥쑤 39A 갤러리는 3호 폭풍 이후 대성당 앞에 쓰러진 고목 반얀나무에서 멀지 않은 곳입니다. 작가는 사실 1년도 더 전에 겪은 "폭풍" 때문에 몸이 좋지 않습니다. 오랜 병환이었지만, 그는 침착하게 "대처"하고 있습니다. 레 티엣 끄엉이 최근 출간한 방대한 에세이집 『집과 사람들』의 저자는 "병든 도시"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푸른 나무들이 쓰러지고 유리창은 홍수를 막을 수 없었던 동시에, 웅장한 다리들이 홍수에 갑자기 무너져 내리는 모습, 고난 속에서 사람들 사이의 "인간성", 득실이 엇갈리는 삶에 대해…
Họa sĩ Lê Thiết Cương:
'Lòng nhân luôn là rường cột cố kết cộng đồng'- Ảnh 1.
수도 중심부의 옛길에 반평생을 바친 그는, 집 바로 옆에서 또 다른 "증인"이 쓰러져 하노이 시민들의 기억 속에 깊이 새겨진 것을 목격했을 때 어떤 기분이었을까? 바로 대성당 앞의 고목 반얀나무였다. 사람들은 "사랑할 때만 아프고, 사랑하지 않으면 아프지 않다"라고 말한다. 푸른 삶을 사랑하거나 고요하고 오래된 것들에 대한 향수를 느끼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사건 앞에서 아픔을 느낄 것이다. 더 나아가, 그 "신성한 나무"를 매일같이 지나치는 주민들, 어떤 이들은 평생 그 나무를 바라보기도 한다. 그것은 그 특별한 공간에서, 그곳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기억을 품고 태어난 한 사람의 개인적인 고통이다. 예를 들어, 저는 하루에도 몇 잔씩 커피를 마시지만, 때로는 그 가게가 바로 옆이거나 길 건너편에 있기도 하다.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천천히 그 나무를 지나갈 때, 그 나무를 보지 않는 순간은 단 한 번도 없다. 어느 날 아침 대성당 앞을 지나가는데, 안개 때문에 성당이 보이지 않아 "서로를 잃는" 그 순간만으로도 무언가가 사라진 듯한 느낌을 받는다고 상상해 보세요. 더군다나 오랫동안 눈 밑 깊이 새겨져 있던 그 무언가가 이제 완전히 사라져 버린 것입니다. 대성당은 아름다운 건축물뿐만 아니라, 성당 앞에 커튼처럼 드리워진 반얀나무를 비롯한 주변 환경 때문에도 아름답습니다.
Họa sĩ Lê Thiết Cương:
'Lòng nhân luôn là rường cột cố kết cộng đồng'- Ảnh 2.

예술가 Le Thiet Cuong의 에세이집이 새롭게 출간되었습니다.

이 나무를 비롯해 도시에 있는 다른 많은 "신성한 나무"도 기술적인 이유로 보존할 수 없다면 안타까운 일이고, 참으로 안타까운 손실일 것입니다... 39A Ly Quoc Su는 하노이에서 특별한 건물입니다. 갤러리이기도 할 뿐만 아니라, 주인이 지난 20년 동안 하노이 예술가들을 위해 수십 개의 비영리 전시회를 부지런히 조직해 왔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신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 사람의 "장난기" 때문에 특별합니다. 집만큼이나 넓은 마당/채광창, "땅의 모든 인치가 금만큼의 가치가 있는" 그 자리에... "쓸모없는 식물 몇 그루", 즉 필로덴드론과 한 번도 열매를 맺지 못한 바나나 나무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작가는 이 "특징"을 책 『집과 사람들』에서 감사의 의미로 언급했습니다. "저는 하루에 한 번, 오후에 창가에 앉아 정원을 바라보며 정기적으로 관리합니다. 제 정원에는 바나나 나무가 한 그루만 있는데, 해가 질 때 흔들리는 푸른 바나나 잎사귀는 저를 평화롭게 만들고, "마음이 갑자기 평화로워집니다"... "저는 녹색만 보면 됩니다." 작가가 말했습니다.
Họa sĩ Lê Thiết Cương:
'Lòng nhân luôn là rường cột cố kết cộng đồng'- Ảnh 3.

갤러리 39A Ly Quoc Su(하노이)의 화가 Le Thiet Cuong

집과 사람들 의 저자는 뿌리째 뽑힌 나무에 대해, 오랫동안 그들의 "집"을 침략하려고 위협해 온 지하 케이블, 아스팔트 블록, 콘크리트, 벽돌, 돌 등을 폭로하면서, 무엇이라고 말할까? 맞습니다. 땅은 바로 "나무의 집"입니다. 매미가 알을 낳고, 풀이 나무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곳이죠... 땅을 잃는다는 것은 집을 잃는 것과 같습니다. 보도가 가끔씩 뒤집혀서 지하에 무언가를 건설해야 하고, 계획의 일관성과 중복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새 거리에 무분별하게 나무를 심는 문제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1954년 이전 하노이 서쪽 거리에 프랑스인들이 심은 나무들을 보세요. 왜 아직도 그 나무들이 많이 서 있을까요? 한편, 많은 신도시 지역에서는 나무가 쓰러졌습니다. 다른 곳에서 파낸 성숙한 나무들이 운송 과정에서 뿌리가 잘렸기 때문입니다... 간단히 말해, 이는 부자연스럽습니다. 푸르게 되려면 시간이 필요하고, 속일 수는 없습니다. 분명 미래에는 경험을 통해 배우는 "임시방편"의 녹색 도시들이 많이 생길 것입니다... 퐁쩌우 다리 붕괴 당시에도 사람들은 100년 이상 홍강 위에 굳건히 서 있던 롱비엔 다리의 수명을 다시 한번 언급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기도 합니다. 애도하는 시기에 '식민지 유산'을 칭찬하는 게 너무 잔인한 일이 아닐까요? 잔인한 것은 없습니다. 옳은 말은 해야 하고, 좋은 것은 배워야 합니다. 그래야만 마음의 아픔을 덜 수 있습니다! 만약 멀지 않은 곳에 모래 준설선이 있었다면 그 다리는 무너졌을지도 모릅니다. 그 이야기가 옳든 그르든,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 저는 이 모든 것을 끝까지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끝까지 분석하지 않는 것은 떠나는 사람과 남는 사람 모두에게 잔인한 일입니다. 건설과 건축을 포함한 문명의 유산을 가진 프랑스인들은 이 열대 몬순 국가인 우리를 위해 정말 "계산된" 일들을 해왔습니다. 프랑스 집들의 창틀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오랜 세월이 흐른 지금, 폭풍이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각 창문을 작은 패널로 나눈 것은 우연이 아닐 것입니다. 셔터, 유리문(역시 여러 개의 작은 패널로 나뉜), 심지어 문틀을 따라 우아하면서도 매우 튼튼한 클레몬 도어 래치까지 있습니다... 또는 왜 용접(재료 구조를 변경함) 대신 나사, 볼트로 고정하는 것을 선택했을까요? 이러한 섬세한 계산은 단순히 "예술적 취향"이 아니라 "인간적 취향"입니다!
Họa sĩ Lê Thiết Cương:
'Lòng nhân luôn là rường cột cố kết cộng đồng'- Ảnh 4.
Họa sĩ Lê Thiết Cương:
'Lòng nhân luôn là rường cột cố kết cộng đồng'- Ảnh 5.
저는 "평화와 사람들" 이라는 책의 "평화로운 집" 이라는 글에서 이런 슬픈 말을 언급했습니다. "왜 이렇게 됐는지 항상 후회합니다. 전쟁, 고난, 빈곤의 시대에도 사람들의 마음은 평화로웠고, 혼란의 시대에도 사람들의 마음은 평화로웠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활동적"이고, 똑똑하고, 계략을 꾸미고, 교활하고, 계산적입니다... 매일 아침 집에서 직장으로 가는 길만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서로 밀치고, 아무도 양보하려 하지 않고, 경적 소리, 매연, 먼지, 쓰레기, 넘쳐나는 하수, 오염된 운하, 노후화된 도로, 무질서한 지하 굴착, 얽힌 전선과 전화선, 지저분한 광고판, 교통 체증, 욕설, 싸움... 그리고 가짜 학위, 가짜 약, 그리고 속일 수 없다고 여겨지는 다른 많은 것들도 가짜입니다. 가짜 처녀성, 가짜 의사, 교수, 가짜 사원, 가짜 결혼식, 가짜 (순교자) 무덤..." 아니면 최근에, 온 나라가 파괴적인 폭풍과 홍수로부터 북한을 지원하기 위해 손을 잡았을 때, 여전히 가짜가 끼어들 여지가 있었습니다. 가짜 자선(온갖 "배경" 포함), 가짜 도움 요청("정원사" TikToker, YouTuber 등의 "속임수"를 사용함), 심지어 "키보드로 심판하는 것"에 익숙한 "검토의 성인"들이 온라인에서 시끄럽게 "싸움"을 벌이는 것까지...
Họa sĩ Lê Thiết Cương:
'Lòng nhân luôn là rường cột cố kết cộng đồng'- Ảnh 6.
하지만 무엇보다도, 그 어느 때보다도, 사람들이 서로 교류하고, 군대와 사람들이 서로를 끌어안는 방식에서 소위 "베트남 정신", "베트남의 피"를 다시 한번 봅니다. 남부와 중부 지방에서 온 구호 트럭이 북부를 구출하고, 자원봉사 차량이 다리 위에서 속도를 줄여 오토바이가 바람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저축을 자선 단체에 사용하고, 군인들이 구조 여행 중에 바람과 비를 마다하지 않습니다... 베트남 사람들은 그런 점에서 이상합니다. 평소에는 서로 밀치고, 온갖 방식으로 괴롭히기도 합니다. 현실 세계에서든 온라인상에서든 말이죠... 하지만 "가족 문제"가 생기면, 아무도 모르게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람들을 돕고 구하기 위해 선한 일을 하려고 합니다. 이는 베트남 사람들의 피 속에 항상 흐르는 일종의 "친절"입니다. 흔히 드러나지는 않지만, 어려운 상황, 가장 필요한 순간에 그 어느 때보다 더 밝게 드러나고 빛납니다. 친절은 공동체를 하나로 묶는 기둥과 같고, 우리를 더 가깝고 더 넓게 이어주며, 이 인간 세계, 이 우주가 존재하도록, 그리고 그 핵심, 인간의 마음에서 벗어나지 않고 끊임없이 회전하도록 하는 닻과 같습니다.
Họa sĩ Lê Thiết Cương:
'Lòng nhân luôn là rường cột cố kết cộng đồng'- Ảnh 7.

수백 명의 옌바이 성 청년 조합원들이 옌바이시의 여러 거리 청소에 참여했습니다. 사진: 응우옌 안

제 집 앞에는 리꾸옥수 사원이 있고, 길 초입에는 대성전이 있습니다. 거리는 아주 평화로웠습니다. 사원과 교회가 동시에 있는 듯했습니다. 매일 사람들로 북적이는 좁은 골목길의 오래된 거리를 지나가지만, 교회 문을 들어서거나 사찰 마당에 들어서는 순간, 저는 완전히 다른 공간, 순수하고 고요한 공간에 들어온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마치 바깥의 모든 소음이 저 멀리, 서로 관련도 없고 의존적이지도 않은 곳에 있는 것처럼 말입니다. 우리 각자의 마음속에는 그 소음, 고요함, 혼탁함, 그리고 맑음 속에 항상 그런 "사찰"이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우리가 그곳에 발을 들여놓는 일은 드물지만, 삶의 어떤 "신성한 순간"에는 그곳이 항상 우리 영혼이 가장 순수하고 자비로우며 가장 "인간적인" 방식으로 씻겨지는 곳입니다.
Họa sĩ Lê Thiết Cương:
'Lòng nhân luôn là rường cột cố kết cộng đồng'- Ảnh 8.
그의 집을 보고, 그의 그림을 보고, 그의 글을 읽으면 마치 과거와 현재 사이 어딘가에 "갇힌" 듯, 과거에 애착을 느끼는 향수에 젖은 사람의 심경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갇힘"이죠! 지난 며칠 동안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은 슬픈 소식, 쓰러진 나무, 무너진 다리, 갑작스러운 홍수, 산사태 등 온갖 사건들 사이에서 "갇힌" 상태였습니다. 음, 이제 하늘과 땅이 우리에게 다시 한번 일깨워 주는 또 다른 순간입니다. 좋은 삶에는 하늘, 땅, 사람, 이 세 가지 요소의 조화가 필요하다는 것을요. 이 고통의 끝은 우리가 녹색을 잃었고, 이 땅에 너무 많은 "탄소 발자국"을 남겼으며, 보존과 개발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이 시기에 우리는 자연을 더욱 사랑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개혁하고 통제하려 하지 말아야 합니다. "도시가 병들수록" 우리는 도시를 살아있는 존재처럼 대하고, 돌보고, 우리 몸을 사랑하듯 매일 사랑해야 합니다. 노년에 심각한 질병을 겪으셨는데, 인생의 "폭풍"을 어떻게 헤쳐 나가셨나요? 주역은 이렇게 가르칩니다. 얻는 것이 있으면 잃는 것도 있습니다. 완전히 잃는 것도, 완전히 얻는 것도 없습니다. 결국 "균형"이라는 두 단어는 각 개인, 한 나라, 더 넓게는 이 인간 세상 전체의 사고방식에서 여전히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Họa sĩ Lê Thiết Cương:
'Lòng nhân luôn là rường cột cố kết cộng đồng'- Ảnh 9.
Thanhnien.vn
출처: https://thanhnien.vn/hoa-si-le-thiet-cuonglong-nhan-luon-la-ruong-cot-co-ket-cong-dong-185240914201014397.htm

댓글 (0)

No data
No data

같은 태그

같은 카테고리

탕롱황성에서 리나라 중추절 재연
서양 관광객들은 항마 거리에서 중추절 장난감을 사서 자녀와 손주들에게 선물하는 것을 즐긴다.
항마 거리는 중추절의 색채로 화려하고, 젊은이들이 끊임없이 체크인을 하고 있습니다.
역사적 메시지: 빈응이엠 사원 목판 - 인류의 기록 유산

같은 저자

유산

수치

사업

No videos available

현재 이벤트

정치 체제

현지의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