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롱황성, 특히 킨티엔궁의 고대 궁전의 건축 형태를 해독하는 연구는 매우 어려운 문제입니다. 이는 문서 출처가 부족하기 때문에 과학자들 에게는 정말로 큰 과제입니다.
지난 몇 년간 고고학 및 역사 자료와 동아시아 고대 궁궐 건축과의 비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이 민 트리(Bui Minh Tri) 부교수 박사가 이끄는 황성 연구소 연구팀은 리(Ly) 왕조와 쩐(Tran) 왕조(2016-2020) 그리고 최근 낀티엔(Kinh Thien) 왕조(2020-2021)의 궁궐 건축 양식을 성공적으로 해독하고 복원했습니다. 이는 초기 연구 결과일 뿐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확실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탕롱(Thang Long) 왕궁 건축의 고유한 아름다움과 동아시아 고대 궁궐 건축사에서 베트남 궁궐 건축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더욱 명확하게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매우 설득력 있는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1886년 프랑스가 촬영한 초기 레 왕조의 킨티엔 궁전의 기초 위에 세워진 응우옌 왕조의 롱티엔 궁전의 모습(출처: EFEO)
현재 하노이 성채에 있는 레 왕조 초기 킨티엔 궁전의 돌계단. 출처: 부이민찌
1부: 전기 루프 망원경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목재 구조 및 형태
소개 : 킨티엔궁은 레 왕조 초기 탕롱 수도 자금성 중심부에 위치한 궁궐입니다. 이 궁궐은 레타이또 왕이 명나라(1407-1427)를 격파하고 왕위에 올라 탕롱 수도를 재건한 후 1428년에 건립했습니다. 공식 역사에 따르면, 이 궁궐은 1465년과 1467년에 수리 및 재건되었으며, 레소 왕조(1428-1527), 막 왕조(1527-1593), 레쭝훙 왕조(1593-1789)의 세 왕조를 거치며 매우 오랫동안 사용되었습니다(다이비엣 전집, 2011). 영어: Kinh Thien Palace는 388년이 넘게 존재한 후 1816년에 Nguyen 왕조(1802-1945)가 이 주요 궁전 지역에 새로운 Hanh Cung Palace를 건설하면서 완전히 파괴되었습니다(그림 1 참조). Kinh Thien Palace의 황금빛 기억의 유일한 잔재는 오늘날 Thang Long Imperial Citadel Heritage Site(Hanoi)의 중앙에 용이 새겨진 돌계단입니다(그림 2 참조). 고대 Thang Long Imperial Citadel의 궁전, 정자, 탑, 공동 주택의 모든 건축 작품은 지하에 묻혔습니다. 오래전에 파괴되었고 주요 홀의 건축을 설명하는 역사적 문서, 사진 또는 도면이 없기 때문에 오늘날 우리는 Kinh Thien Palace의 외관, 규모 및 건축 형태를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Thang Long 수도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Kinh Thien Palace를 복원하기 위한 연구는 문서 출처가 부족하여 매우 어려워졌습니다.
킨티엔 궁전 동쪽에 있는 초기 레 왕조 기둥 기초의 건축적 흔적(출처: Bui Minh Tri)
탕롱 황궁에서 발견된 레 왕조 초기의 돌기둥 받침대(출처: 부이민찌 - 응우옌꽝응옥).
Kinh Thien Palace 공간, 특히 Kinh Thien Palace 복원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위한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2011년부터 현재까지 Kinh Thien Palace 지역 주변에서 수십 건의 고고학 발굴이 진행되었습니다. 지난 10년간의 발굴 및 고고학 연구 결과는 많은 귀중한 새로운 발견을 밝혀냈으며, 초기 Le 왕조 시대의 Kinh Thien Palace 공간과 궁전의 건축 형태, 특히 Thang Long Forbidden City의 정전을 해독하는 연구에 더욱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를 제공했습니다(Tong Trung Tin, 2022). 초기 Le 왕조 시대의 Thang Long Imperial Palace의 궁전 건축 구조를 기록한 역사 서적과 문서는 극히 드물고 불분명해 보입니다. 따라서 위의 고고학적 출처는 초기 Le 왕조 시대의 베트남 궁전 건축을 해독하는 연구에 가장 중요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로 간주됩니다. 이러한 자료에 비추어 볼 때, 탕롱황성의 궁전 건축은 점차 과학과 함께 되살아나고 있으며, 건축 형태의 신비를 풀기 위한 학술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베트남 북부의 교차벽 건축 – 1: 부이 케 사원(하노이); 2: 케오 사원( 타이빈 ); 3: 타이 당 공동주택(하노이)(출처: 기념물 보존 연구소, 2017(1,2); 황궁 연구소(3).
건축 형태학 해독 연구, 즉 건축 양식 해독 연구입니다. 킨티엔 궁궐 사례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은 유적지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자료를 분석하고, 사료와 기존 전통 건축 및 동아시아 고대 궁궐 건축과의 비교 연구 결과를 결합하는 것입니다. 이 연구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건물의 기초 평면, 지붕 지지대, 지붕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입니다. 즉, 기초 구조(또는 건축 평면)와 건축과 관련된 재료 및 목구조의 종류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건축 골조의 건축 유형과 구조를 조사하고 해독해야 하며, 이를 통해 건축 양식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발굴된 목조 구조물과 기와의 종류와 기능을 분석한 도면, 모형,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북베트남에 남아 있는 전통 건축과 동아시아의 고대 궁궐 건축, 특히 도안타오팝특 문서를 통한 명나라 초기 궁궐 건축, 그리고 중국 베이징 자금성이나 한국 창덕궁, 일본 헤이조의 궁궐 유적지 현장 조사를 통한 비교 연구를 결합하여... 이 논문은 킨티엔 궁궐 사례를 통해 레 왕조 초기 궁궐의 건축 형태를 해독하고 복원하기 위한 연구 결과를 우선적으로 발표할 것입니다. 또한, 이는 동아시아 고대 궁궐 건축사의 맥락에서 베트남 궁궐 건축사에 대한 국제적 학술 연구 방향의 기초가 될 것입니다.
베트남 수출 도자기에 그려진 2층 성채 건축물의 이미지, 레 왕조 초기, 15세기 (출처: Bui Minh Tri)
1. 목조 구조물 및 지붕 지지 프레임 시스템 분석 탕롱 황성은 하노이 중심부에 위치한 베트남의 유명한 고고학 유적지입니다. 이 유적지는 2002-2004년, 2008-2009년, 2012-2014년에 걸쳐 대규모로 발굴되었으며, 발굴 장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황지에우 18번지, 국회의사당 건설 지역, 쩐푸 62-64번지. 발굴 결과, 다이라(Dai La) 시대, 딘티엔레(Dinh-Tien Le) 시대부터 리(Ly), 쩐(Tran), 레소(Le So), 막(Mac), 레쭝훙(Le Trung Hung) 시대(7-9세기에서 17-18세기)까지 여러 시대의 목조 건축 기단과 다양한 유형의 유물이 매우 복잡하게 겹치고 얽혀 있는 흔적이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매우 중요한 발견으로, 탕롱 성채가 천 년이 넘는 역사 속에서도 지속적이고 오랫동안 존재해 왔음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부이민찌-통쭝띤, 2010; 부이민찌, 2016). 이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 덕분에 이 유적지는 201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탕롱황성 유적지에서 발견된 레 왕조 초기의 다양한 종류의 꽃병과 나무 꽃병(출처: 부이민찌 - 응우옌꽝응옥)
지하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고대 탕롱 황궁의 궁전 건축 양식은 모두 목조 건축으로, 목재 하중 지지 프레임을 사용했으며, 구조물의 지붕은 매우 전형적인 유형의 기와로 덮여 있었음이 확인되었습니다(Bui Minh Tri - Tong Trung Tin, 2010; Bui Minh Tri, 2016). 18번째 황지우 유적과 킨티엔 궁전 지역에서 깨진 벽돌과 기와로 단단히 보강된 레소 시대의 건축 기초 흔적 외에도 발굴을 통해 구조물의 나무 기둥을 지지하는 꽤 많은 돌 받침대가 발견되었습니다(그림 3-4 참조). 이러한 돌 받침대는 크기가 다양하지만 모두 불투명한 흰색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모양이 상당히 균일합니다. 장식 패턴이 없는 받침대 유형으로, 정사각형 받침대, 둥근 사다리꼴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평균적인 정사각형 표면보다 약 5-8cm 높고 평평한 표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볼 때, 이는 둥근 나무 기둥을 받치는 받침대의 유형임을 알 수 있다.즉, 르 왕조 초기 궁궐 건축의 나무 기둥은 일반적으로 둥근 기둥이었다.여기서 받침대는 크기가 다양하며, 작은 유형은 면직경이 38-48cm, 큰 유형은 면직경이 50-60cm이며, 면직경이 70cm가 넘는 큰 유형도 있지만 매우 드뭅니다.이러한 크기를 바탕으로 볼 때, 현관과 현관 기둥의 기둥 밑받침을 받치는 데 사용된 작은 유형의 받침대는 평균 직경이 약 36-46cm이고, 큰 유형은 집 안의 나무 기둥, 즉 주 기둥을 받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기둥의 평균 직경은 약 48-58cm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탕롱황성 유적지에서 발굴된 목조구조문서를 바탕으로 한 레나라 초기 요새구조 복원 연구 (출처: 부이민찌-응우옌꽝응옥)
2018년 Kinh Thien Palace 동쪽의 발굴 구덩이에서 높이 228cm, 밑면 지름 38cm의 붉은 칠을 한 나무 기둥이 발굴되었는데, 이는 위에서 언급한 현관의 기둥을 지탱하는 돌 받침대 유형과 일치합니다. 특히 이 지역의 발굴 구덩이에서 지붕 지지 프레임의 다양한 유형의 나무 구성 요소도 발견되었습니다. 나무 구성 요소에 대한 연구와 분석된 목재 샘플의 비교를 통해 초기 Le Dynasty의 건축 작품은 주로 4가지 나무 그룹(dinh, lim, sen, tau)의 귀중한 목재로 지어졌으며, 그 중 많은 것이 sen mat, tau mat 및 lim이었습니다(Bui Minh Tri, Nguyen Thi Anh Dao 2015:136-137). 초기 Le Dynasty의 궁전 건축이 완전히 파괴되었기 때문에 기초의 흔적, 목조 구조의 유형 또는 지붕 기와의 유형을 발견한 것은 현대 건축 연구에서 중요하고 매우 의미 있는 문서로 확인됩니다. 그러나 건축 형태를 이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지붕 지지 골조, 즉 건축 골조의 건축 유형과 구조를 연구하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자료를 수집하고 비교 연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문제가 제기됩니다. 바로 레 왕조 초기 궁궐 건축의 골조 구조가 어떤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는가 하는 것입니다. (1) 오늘날 북베트남의 전통 종교 건축과 유사한 "겹보" 또는 "투과보" 양식인가? (2) 리 왕조와 쩐 왕조의 건축과 유사한 "다우콩" 양식인가? 이러한 질문들은 베트남 궁궐의 지붕 지지 골조 체계와 건축 형태를 해석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할 때 제기되는 중요한 질문들입니다.
초기 레 왕조의 베트남 두롱 구조와 초기 명나라의 중국 두롱 구조에 대한 비교 연구 (출처: Ngo Vi - Bui Minh Tri - Nguyen Quang Ngoc)
영어: 고고학적 자료, 모형 자료 및 비문 자료를 기반으로 한 여러 이전 연구 작업에서 우리는 Ly-Tran 왕조 시대의 Thang Long 황궁의 궁전 건축이 주로 두콩 건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Thang Long 황궁의 궁전 건축 형태를 해독하는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관찰로 간주됩니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18년 중국과 한국에서 열린 국제 과학 회의에서도 발표되었습니다(Bui Minh Tri, 2016; 2018; 2019). 고대 동아시아 궁전 건축의 역사에서 두콩 건축은 군주 왕조의 왕실 건축 문화와 예술을 상징하는 용어이자 상징입니다. 중국, 일본 또는 한국에서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왕조의 궁전 건축은 모두 기와 지붕이 있는 두콩 건축입니다. 영어: 이 유형의 건축은 2,500년 전 춘추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긴 역사를 가진 중국의 발명품으로 여겨지며 그 영향은 동아시아의 동일한 문화를 가진 국가로 퍼졌습니다.베트남 건축의 역사에 대해 두공 또는 두공 건축은 흔하지 않은 개념으로 보이며 많은 연구자에게 매우 이상한 문제이기도 합니다.Dinh-Ly-Tran-Hau Le 왕조(10세기~18세기)의 베트남 궁전 건축은 오늘날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오늘날에도 여전히 인기 있는 북부 베트남의 전통 목조 건축은 전통적인 보 또는 겹치는 보, 징 가격이 있는 겹치는 보의 건축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막 왕조(16세기)에서 레쭝훙 왕조(17~18세기)까지이고, 가장 인기 있고 널리 퍼진 것은 응우옌 왕조(19세기)였습니다(Vu Tam Lang, 2010). 따라서 궁궐 건축을 연구하고 해독하기 위해 이 문서에 접근하는 것은 어렵습니다.왜냐하면 그것은 종교 건축, 민속 건축이지 왕실 건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흥미롭게도, 그 중에서 우리는 초기 레 왕조보다 늦고 전통적인 적층 보 건축과 혼합되었지만 여전히 몇 가지 유형의 도브테일 건축이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즉, 케오 사원(부투, 타이빈), 떠이당 사당(바비, 하노이), 보이 케 사원의 성지(탄오아이, 하노이)와 킴리엔 사원(바딘, 하노이), 동응오 사원(탄하, 하이즈엉)(그림 5) 또는 바땀 사원(자람, 하노이)(그림 10)의 일부 도브테일 잔해입니다.이러한 희귀한 이미지는 도브테일 건축의 잔해로 간주되며 베트남 건축사에서 도브테일 건축이 존재했음을 확실히 증명합니다(Bui Minh Tri, 2019). 일부 이전 연구에서는 Dau Pagoda(Bac Ninh), Thai Lac(Hung Yen), Boi Khe(Ha Tay)의 상부 홀의 지붕 구조를 관찰하고 Nam Dinh과 Thai Binh에서 발견된 Tran 왕조의 건축 모형 문서를 바탕으로 Trinh Cao Tuong과 Ha Van Tan이 Tran 왕조 베트남 건축에서 dou cong의 존재에 대해 추측했습니다(Trinh Cao Tuong, 1978; Ha Van Tan - Nguyen Van Ku - Pham Ngoc Long, 1993). 그러나 자료가 부족하여 연구자들은 현대 베트남 건축의 맥락에서 dou cong의 구조와 형태에 대해 더 자세히 논의할 수 없었습니다. 중국 건축의 역사를 연구하면 dou cong이 처마와 지붕 아래에 위치한 중첩 보 기술을 사용하는 지붕 지지 구조 유형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은 현관의 면적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으며, 힘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건물의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장식적인 디테일 역할을 합니다.많은 직사각형 나무 프레임을 조립함으로써, 두롱은 지붕의 매우 큰 무게를 지지 기둥으로 전달하여 건축물이 지진을 겪을 때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서 있도록 도와줍니다.이 구조로 두롱은 또한 건물에 대한 지진의 영향을 줄여 지진 발생 시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Duong Hong Huan, 2001; Luu Suong 2009; Phan Coc Tay and Ha Kien Trung, 2005).이것은 베트남 건축과 동아시아 국가의 고대 건축의 역사를 연구할 때 매우 의미 있는 관찰입니다.역사적 사실은 두롱이 장식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두롱 건축의 하중 지지 구조가 매우 명확하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특히 지진 발생 시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이것은 역사상 발생한 많은 대지진이나 쓰나미에도 불구하고 굳건히 서 있는 많은 일본 및 중국 요새의 장수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베트남 역사에는 탕롱 수도 지역을 포함하여 베트남 북부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기록도 있습니다.Chinh Hoa 18년(1697)에 조각된 목판인 Dai Viet의 Complete Annals에서 기록된 통계를 바탕으로 Ly 왕조에서 Mac 왕조까지 발생한 39건의 지진을 정리했습니다.그 중 가장 많은 지진은 Ly 왕조(20건), Tran 왕조(10건), 초기 Le 왕조(6건)에 발생했습니다.역사 기록에는 동물, 나무, 작물의 피해는 기록되었지만 주택의 피해는 기록되지 않았고 왕궁의 궁전이 무너지거나 손상된 것에 대한 언급도 없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Complete Annals of Dai Viet, 2011).이로 인해 왕궁의 목조 구조물이 여전히 강한 폭풍과 지진을 견뎌낼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옵니다. 이것은 베트남 건축사에서 두콩 건축 유형을 해독하려는 연구 여정에 있어 매우 흥미로운 문제입니다. 초기 레 왕조의 경우 고고학적 문서 측면에서 우리는 리 왕조와 쩐 왕조의 문서보다 훨씬 더 나은 기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초기 레 왕조의 큰 도자기 판 내부에 많은 지붕 층이 있는 두콩 건축의 그림이 매우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그림 6 참조). 두콩 시스템 유형, 특히 두콩 시스템의 붉은 금박 꽃병은 2002-2004년에 킨티엔 궁전 서쪽의 18 Hoang Dieu 유적지의 AB 구역에서 발굴되었습니다. 이는 초기 레 왕조 궁전 건축의 지붕 지지 프레임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최초이자 중요한 고고학적 단서입니다(그림 7cd 참조). 2017-2018년 킨티엔 궁 주변 발굴 조사에서 레 왕조 시대의 개울 바닥에서 기둥, 모서리 들보, 현관 서까래, 마루판, 트러스 구조의 지붕 들보 등 70개의 목조 건축 요소가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조사 과정에서 그중 두콩 구조의 구성 요소가 상당히 많다는 것을 확인했는데, 이는 아래에 언급된 "앙 꽃병"의 유형입니다. 이 문서는 레 왕조 초기 건축 또한 두콩 건축 유형에 속했음을 확고히 증명합니다(Bui Minh Tri, 2021).
16세기 막 왕조 시대의 지붕 형태와 제단 구조, 하노이 자람 바땀 사원(왼쪽 사진), 푸른 유약 건축 모형은 킨티엔 궁전 동쪽에서 발견된 15세기 레 왕조 초기의 주요 지지대 구조를 자세히 묘사하고 있습니다(오른쪽 사진)(출처: 부이민트리).
레 왕조 초기 두롱 건축 양식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가장 희귀한 이미지는 위에서 언급한 15세기 대형 원반 내부의 그림입니다. 이 원반 내부에는 두 개의 지붕(이중지붕)과 "측면지붕" 형태의 지붕을 가진 5개의 두롱 건축 양식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는 레 왕조 초기 베트남 건축사에서 두롱 건축의 존재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증거로 여겨집니다(그림 6 참조). 현재까지 탕롱 황성 유적지에서는 레 왕조 초기 궁궐 건축의 두롱과 관련된 일부 또는 목조 구조물이 발견되었는데, 두(Dou)와 다양한 종류의 화병이 있지만, 두롱(또는 두롱)과 루다우(Lu Dau)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그림 7 참조). 두롱 체계의 완전한 구성 요소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이 진본 문서는 레 왕조 초기 두롱 건축에 대한 학술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일반적인 개념에 따르면 두롱은 두(Dou)와 가로대(Cross Bar)라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두롱 시스템", "두롱 세트" 또는 "두롱 클러스터"의 구조는 두롱 유형, 가로대 유형 및 보 유형을 포함하여 서로 연결된 많은 구성 요소로 구성된 훨씬 더 복잡합니다.초기 레 왕조의 두롱과 관련된 첫 번째 나무 구성 요소는 18 Hoang Dieu의 AB 지역 중앙에 있는 강바닥 발굴에서 발견되었으며 작은 정사각형 두롱이었습니다.이 유형의 두롱은 빨간색으로 칠해졌으며 크기는 13.5x13.5cm, 높이는 6.0cm이고 바닥에 타원형 구멍이 있으며 표면에 가로대를 지지하는 홈이 7.5cm 너비이고 양쪽에 작은 정사각형 홈이 두 개 있으며 위에서 보면 수평 H 모양입니다. 영어: 중국 명나라 시대에는 이 유형의 두롱이 꽤 유행했는데, 칠심두(齐心斗) 또는 쉬옌땀두(Xuyen tam dou) 또는 동땀두(Dong tam dou)라고 불렸습니다(Luong Tu Thanh, 2006)(그림 7d 참조). 차이점은 베트남 두롱의 다리가 중국 유형의 두롱처럼 60도 경사가 아니라 종종 고르게 구부러져 있다는 것입니다. 두롱과 관련된 두 번째 구조는 앙형(Doanh tao phap thuc의 발음에 따름)입니다. 원래 Doanh tao phap thuc의 그림을 기준으로 턱 구멍이 위를 향한 두롱 군집의 목조 구조물은 모두 궁형으로 분류됩니다. 턱이 아래를 향한 두롱 군집의 목조 구조물은 모두 앙형으로 분류됩니다(Luong Tu Thanh, 2006). 따라서 Kinh Thien Palace 동쪽 지역에서 발굴된 턱 홈이 아래로 향한 짧은 나무 막대는 모두 ang이라고 불리며, 대각선 ang과 구별되는 수평 ang인 binh ang 유형에 속합니다.이 유형의 꽃병은 길이와 모양이 다양하며, 5개 홈 꽃병, 3개 홈 꽃병 및 1개 홈 꽃병의 3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5개 홈 꽃병: 원래 모양을 유지하는 것이 3개 있으며, 양쪽 끝이 구름 무늬와 같으므로 구름 모양 꽃병이라고 합니다.이 유형의 꽃병은 길이 132cm, 두께 11cm, 높이 15cm입니다(그림 7a 참조).3개 홈 꽃병: 원래 모양을 유지하는 것이 2개 있습니다.첫 번째는 꼭대기에 삼각형 둔각이 있어 메뚜기 머리처럼 보이므로 메뚜기 머리 꽃병이라고 합니다. 영어: 이 유형의 꽃병은 길이 96cm, 두께 8.0cm, 높이 13cm입니다(그림 7b 참조). 두 번째 꽃병은 위에서 언급한 5홈 꽃병과 같이 양쪽 끝이 구름 패턴 모양이어서 구름 모양 꽃병이라고 합니다. 이 유형의 꽃병은 길이 113cm, 두께 11cm, 높이 15cm입니다. 꽃병에는 홈이 1개 있습니다. 2개가 있으며 둘 다 깨지거나 타서 머리만 남아 있으며 나머지 크기는 길이 약 67-76cm, 두께 6.5-7.0cm, 높이 12.5cm입니다. 이 꽃병은 새의 부리처럼 아래로 휘어진 긴 머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새머리 꽃병이라고 합니다. 이 유형의 꽃병은 중국에서 매우 인기가 있으며 송나라에서 명청나라에 나타났으며 중간 꽃병과 낮은 꽃병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중간 꽃병에는 일반적으로 홈이 3개 있고 낮은 꽃병에는 일반적으로 홈이 1개 있습니다. 영어: 18 Hoang Dieu에서 발견된 꽃병은 1 홈 유형에 속합니다(그림 7c 참조).따라서 Thang Long Imperial Citadel 유물에서 발견된 꽃병은 주로 홈이 홀수인 유형입니다: 1 - 3 - 5, 홈이 더 많은 유형 또는 홈이 짝수인 유형(4 - 6)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이 발견은 Thang Long의 두공이 단순한 유형이며, 아마도 두공 수준이 3 또는 4이고 두공 클러스터의 크기가 대조현궁과 비교하여 명나라의 중국 두공 클러스터와 같거나 약간 작음을 시사합니다.중국 베이징의 자금성에 있는 명나라 초기 대조현궁의 두공 구조와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5개의 홈이 있는 꽃병 유형은 두공 클러스터 위에 위치한 꽃병 유형으로 두공 클러스터의 머리를 잠그는 기능을 합니다. 3개의 홈이 있는 병은 일반적으로 두공 다발 중앙에 위치하며, 1개의 홈이 있는 새머리 모양의 병은 일반적으로 바닥에 위치하여 화로 위에 놓입니다. 편의상, 위쪽 병(5개의 홈)은 위쪽 플라스크, 가운데 병(3개의 홈)은 중간 플라스크, 아래쪽 병(1개의 홈이 있는 새머리 모양 플라스크)은 아래쪽 플라스크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그림 7-9 참조).
기초와 들보를 제거하고 목재를 칠하고 장식 패턴으로 금박을 입혔습니다(출처: Bui Minh Tri)
비록 여러 겹의 시간을 거쳤지만, 위의 목조 구조물은 여전히 장식 모티프에 붉은 금박과 진짜 금도금의 흔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초기 레 왕조의 목조 건축물이 밝은 붉은색으로 칠해지고 장식 모티프도 진짜 금으로 덮여 구조물에 화려한 아름다움을 선사했음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위에서 언급한 두콩 건축과 관련된 일련의 목조 구조물을 발견한 것 외에도 2021년 킨티엔 궁 동쪽 발굴에서 매우 독특한 녹색 유약 건축 모형(그림 11 참조)이 발견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것은 현재 베트남에서 발견된 초기 레 왕조의 최초이자 유일한 모형입니다. 이 모형은 매끄러운 관형 기와로 덮인 구조물의 지붕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물을 빼내는 카우 헤드 기와의 프리즈와 구조물의 프레임은 두콩 시스템입니다. 이것은 "기둥 사이" 유형의 버팀목 체계로, 버팀목이 수평으로 고밀도로 배치되어 기둥 위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 또는 구획 사이에도 배치됩니다(구획 사이 버팀목). 모형의 각 버팀목 그룹은 용광로, 버팀목 팔에 놓인 버팀목, 새머리 모양의 병, 메뚜기 모양의 병 등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특히 기둥 꼭대기에 놓인 버팀목 머리 잠금 병은 돌출된 용머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중국식 버팀목과 비교 연구를 통해 이 버팀목은 "대들보" 유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처마가 밖으로 뻗어 나가도록 지지하고 모서리 기둥이 하중을 지지하도록 모서리 기둥 꼭대기에 수평 버팀목을 배치한 버팀목 유형입니다. 버팀목 조합 또는 버팀목 클러스터는 주택 프레임의 여러 위치에 배치되어 네 방향으로 확장됩니다. 지붕 모서리에서 버팀목 팔은 현관 모서리, 수평면, 박공면의 세 방향으로 체계적으로 배치됩니다.이에 대한 기술 용어는 "삼극형 가로보"로, 수평으로 세 기둥 모양의 가로보가 있는 형태를 의미합니다(Tomoda Masahiko, 2017).이 모델의 가로보 스타일은 16세기 막 왕조의 바땀 사원(Gia Lam - Hanoi)에 있는 목조 제단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습니다(그림 10-11 참조).이 옻칠한 목조 제단과 위에서 언급한 녹색 유약 테라코타 모델은 매우 희귀하고 귀중한 정보원으로 간주되며, 초기 레 왕조의 지붕 지지 프레임 구조와 건축 형태의 연구 및 해독을 위한 많은 신뢰할 수 있고 확실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From the results of research on drawings, models and wooden crossbeam components excavated at the site, it can be said that the crossbeam architecture of the early Le Dynasty has a similar structure to the crossbeam model of the Ly and Tran Dynasty, but has a quite important difference, which is the appearance of “vase” (Bui Minh Tri, 2019). Comparative research on the “vase” in the dou cong cluster of the early Le dynasty shows that it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palace architectural style of the Forbidden City of Beijing (China) during the Ming dynasty, such as the case of Dai Cao Huyen Dien. And, it also has quite a similarity with the dou cong cluster in the architecture of the Rear Palace of Boi Ke Pagoda (Hanoi), the bell tower architecture of Keo Pagoda (Thai Binh), especially the architectural model on the wooden altar of Ba Tam Pagoda (Hanoi). Based on this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we have researched and drawn a 3D reconstruction of the dou cong structure of the early Le dynasty architecture.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when studying the shape, size, and groove-making technique of the vases excavated in the East of Kinh Thien Palace and on the basis of comparative research on the types and functions of the vases in the dou cong clusters of the Dai Cao Huyen Dien architecture, we have assembled 3 types of vases into a complete dou cong cluster (see Figure 8). This suggests that the excavation pit area has found parts or components of a contemporary wooden architectural work. Looking at it in the light of this document, and putting it into a dialogue with the wooden architectural styles and the history of ancient palace architecture in the Forbidden City of Beijing (China) during the early Ming Dynasty, we have discovered many interesting things about the dou gong structure between the two dynasties, specifically as stated below. Firstly, the dou gong cluster at the Kinh Thien relic has a structure of 3 floors and 3 dou gong floors, in which the bird head vase is placed on the dou gong, similar to the dou gong cluster of the Loi Dai tower architecture (3 floors) located in the complex of Dai Cao Huyen Dien or the water pavilion architecture of Ha Nam (China) (see Figure 9). Evidence from the architectural model excavated at the site and the style of the wooden altar in the Mac Dynasty at Ba Tam Pagoda also suggests that the wooden altar in the early Le Dynasty may have had a fairly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2 floors and 1 floor, in which the bird's head vase was placed on the order (see Figure 10-11). However, comparative research with the main hall architecture in Dai Cao Huyen, the wooden altar in the Mac Dynasty led to the speculation that the Kinh Thien Palace architecture had 2 roof floors (double roof), equivalent to 2 floors of the main altar. According to the theory of Doanh Tao Phap Thuc and comparative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the main hall architecture of Dai Cao Huyen, the floor of the lower and upper porches is often different, the upper floor is one floor higher than the lower floor. Specifically, in the case of Dai Cao Huyen, the floor of the lower porch has a structure of 3 floors, 3 floors of the main altar and uses a single bird's head vase (ha ang) placed on the order. The upper porch has a structure of 3 and 4 floors, in which the handrails (flowers) are placed on the incense burner, in the middle are 2 bird-head vases (central vases). From this model, we believe that the architecture of the early Le Dynasty may have a structure of the handrails similar to Dai Cao Huyen Dien (see Figure 9). This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determining the height and width of the porch as well as the class of the building.
Nghiên cứu giải mã chức năng cấu kiện gỗ kiến trúc thời Lê sơ(Nguồn: Bùi Minh Trí)
Thứ hai, mặc dù có sự tương đồng về loại hình và kết cấu, nhưng chi tiết về hình dáng và hình thức thể hiện ta thấy kiến trúc đấu củng Việt Nam và Trung Quốc có những điểm rất khác nhau. Đặc biệt, dựa vào tư liệu từ mô hình kiến trúc đào được tại di tích, chúng ta có thể thấy có sự khác biệt khá thú vị giữa đấu củng Việt Nam và Trung Quốc, đó là sự xuất hiện đầu rồng nhô ra từ đầu của các bình áng nằm trên tầng đấu củng trên cùng. Hình thức này ta cũng có thể thấy trên thực tế ở kiến trúc đình Tây Đằng hay chùa Bối Khê. Tuy nhiên, đầu rồng trên bình áng của các kiến trúc này thường đặt quay vào bên trong lòng nhà (xem Hình 5.1, 5.3). Với kiến trúc cung điện thời Lê sơ, khảo cứu từ tư liệu mô hình đất nung có thể thấy, cụm đấu củng có bình áng thượng trang trí đầu rồng thường đặt trên đầu cột, còn cụm đấu củng có bình áng thượng trang trí văn mây thường nằm giữa các cột hay giữa các gian (đấu củng giữa gian). Đây là đặc điểm khác biệt, là nét đặc sắc riêng có của kiến trúc cung điện Việt Nam thời Lê sơ. Ngoài các tư liệu khảo cổ học nêu trên, tại hố đào phía Đông điện Kính Thiên, cùng vị trí phát hiện các loại bình áng, còn tìm thấy xà góc, rui hiên và thượng lương. Xem xét trong bối cảnh phát hiện và nghiên cứu về loại hình, chức năng, chúng tôi xác định đây là những cấu kiện quan trọng liên quan đến kết cấu bộ khung giá đỡ mái và hình thái bộ mái của công trình kiến trúc đấu củng (xem Hình 12-13). Xà góc là loại cấu kiện đặt ở các góc mái của công trình, có chức năng nâng độ cao của bờ dải và tạo đường cong cho góc mái. Tại hố khai quật phía Đông điện Kính Thiên, cuộc khai quật năm 2018 đã may mắn tìm thấy một chiếc xà góc còn khá nguyên vẹn. Xà được tạo từ khối gỗ hình chữ nhật dày 16cm, dài 238cm. Đầu xà vát chéo góc 48,2 độ, cao 27,5cm, thân dài có gờ nổi ở giữa và tạo vát cong kiểu lòng thuyền, thu nhỏ dần về phía sau. Hai bên cạnh và đầu phía trước được sơn son thếp màu đỏ, phần đầu chạm khắc văn mây và được tô vẽ đường diềm mềm mại bằng vàng thật. Trên đầu có 1 lỗ mộng, khoảng giữa thân và phần đầu có 2 lỗ mộng để liên kết với cấu kiện bên trên và bên dưới tạo sự vững chắc và nâng độ cao của góc mái (xem Hình 12a). Rui hiên là loại cấu kiện dùng để đỡ mái ở phần hiên và tạo ra độ rộng (phần nhô ra) của mái hiên. Cùng khu vực phát hiện xà góc, ở đây đã tìm thấy một số rui hiên, đa phần bị gãy chỉ còn lại phần đầu, trong đó có một chiếc còn khá nguyên vẹn dài 140cm và thân dày 11,5cm. Rui có đầu tròn (đường kính 5cm), dài 45cm và tạo vát chéo góc 21,5 độ, thân khối hộp dẹt hình chữ nhật, thon nhỏ về phía đuôi. Trên thân có 2 lỗ mộng nhỏ hình chữ nhật để liên kết với xà ngang bên dưới. Đầu rui được sơn son thếp màu đỏ, phần thân để gỗ tự nhiên (xem Hình 12b). Dựa vào đặc điểm sơn son ở đầu rui có thể suy đoán rằng, hàng rui hiên của kiến trúc thời Lê sơ sẽ để lộ ra ngoài, dưới mái ngói vẫn có thể nhìn thấy tay rui nhô ra như kiểu rui của kiến trúc cung điện Trung Quốc, Hàn Quốc và Nhật Bản. Điều này cũng có nghĩa rằng, hàng hiên của kiến trúc thời Lê sơ không sử dụng tàu mái che rui (xem Hình 13). Đây là đặc điểm khác biệt với kiến trúc thời Lý, Trần (Bùi Minh Trí, 2019). Sự xuất hiện bình áng trong kết cấu đấu củng và sử dụng rui bay ở hàng hiên với đặc điểm nêu trên cho thấy có sự chuyển đổi phong cách rất rõ ràng của kiến trúc cung điện thời Lê sơ so với kiến trúc cung điện thời Lý và thời Trần. Thượng lương là cấu kiện dạng thanh xà ngang nằm trên cùng của bộ vì nóc của công trình. Do hình dạng mặt cắt ngang của nó giống như vầng trăng khuyết nên còn được gọi là nguyệt lương. Tại khu vực phía Đông điện Kính Thiên đào được 1 cấu kiện gỗ loại này. Tuy đã bị gãy một đầu, nhưng vẫn có thể nhận biết đó là thượng lương vì nó có thân tròn, bụng uốn cong khum cánh cung, hai đầu vuông có mộng ngàm quay xuống, kích thước dài còn lại 227cm, cao 30cm và dày 22cm. Mộng ngàm ở 2 đầu cho thấy nó được đặt trên đầu cột ngắn (cột trốn) đứng trên đấu gỗ. Trên lưng của cấu kiện này có 2 lỗ mộng để đặt thêm một xà góc chồng lên trên đỡ lấy xà nóc mái. Dựa vào manh mối này và khảo cứu cấu trúc bộ vì thời Trần ở chùa Thái Lạc (Hưng Yên), chùa Dâu (Bắc Ninh) hay đình Tây Đằng (Hà Nội), thời Mạc, có thể suy đoán rằng, bộ vì của kiến trúc thời Lê sơ có thể có kết cấu kiểu chồng rường. Đây là kiểu vì truyền thống của kiến trúc gỗ Việt Nam (xem Hình 14). Phát hiện này cũng gợi ý rằng, kiến trúc đấu củng thời Lê sơ có thể có sự kết hợp kéo léo giữa các “cụm đấu củng” ở hàng hiên và hệ vì nóc kiểu “chồng rường” ở trên các bộ vì.
Kết cấu bộ vì chùa Thái Lạc (Hưng Yên) và chùa Dâu (Bắc Ninh) thời Trần, thế kỷ 13 – 14(Nguồn: Trần Trunh Hiếu – Viện Bảo Tồn Di Tích, 2018)
Có thể nói, tư liệu hình vẽ kiến trúc trên đồ gốm xuất khẩu và những phát hiện của khảo cổ học về các loại cấu kiện gỗ của kiến trúc đấu củng, mô hình kiến trúc đấu củng là cơ sở khoa học tin cậy cho nhận định rằng, kiến trúc cung điện thời Lê sơ là kiến trúc đấu củng. Trong bối cảnh nghiên cứu lịch sử kiến trúc cổ Việt Nam đang còn nhiều khoảng trống lớn, thì đây là nhận định rất quan trọng, là chìa khóa để giải mã về hình thái kiến trúc điện Kính Thiên. Kết quả nghiên cứu này góp phần làm sáng rõ hơn lịch sử kiến trúc cung điện trong Hoàng cung Thăng Long, củng cố vững chắc hơn cho nhận định: Kiến trúc cung điện trong Hoàng cung Thăng Long xưa (từ thời Lý, Trần đến thời Lê) đều phổ biến hay chủ yếu là kiến trúc đấu củng (Bùi Minh Trí, 2021). Từ kết quả nghiên cứu nêu trên, kết hợp nghiên cứu so sánh với kiến trúc Đại Cao Huyền điện và thủy đình ở Hà Nam (Trung Quốc) thời Minh sơ và các di tích kiến trúc đấu củng Việt Nam thời Mạc và thời Lê Trung hưng, chúng ta hoàn tòan có những cơ sở khoa học tin cậy trong việc tái hiện hình ảnh về bộ khung giá đỡ mái của kiến trúc cung điện thời Lê sơ, đặc biệt là kiến trúc điện Kính Thiên (xem Hình 15b). Mặt khác, như trên đã nêu, trên các cấu kiện gỗ đào được tại di tích đều còn lưu dấu vết sơn thếp màu đỏ và màu vàng tô trên các họa tiết hoa văn. Bằng chứng này phản ánh rằng, các cụm đấu củng và bộ khung kiến trúc thời Lê sơ không để nguyên màu gỗ mà đều được sơn son màu đỏ và dùng vàng thật để tô vẽ lên trên các họa tiết trang trí (xem Hình 13). Điều này đưa đến nhận định rằng, kiến trúc cung điện thời Lê sơ vốn từng được thiết kế rất công phu, trang trí cầu kỳ và tráng lệ với nhiều màu sắc lộng lẫy, sang trọng, mang vẻ đẹp tương đồng với các cung điện nổi tiếng nhất ở Đông Á thời bấy giờ. Trong kiến trúc cung điện ở Bắc Kinh (Trung Quốc) hay Changdeokgung (Hàn Quốc), bộ khung gỗ của công trình, đặc biệt là hệ đấu củng, đều phổ biến được sơn son và tô vẽ hoa văn với rất nhiều màu sắc sặc sỡ khác nhau, tạo lên vẻ đẹp lỗng lẫy, cao sang của các cung điện trong hoàng cung, thể hiện sức mạnh quyền uy, sự giàu có và thịnh vượng của các vương triều.
So sánh kết cấu bộ vì của kiến trúc Việt Nam thời Lê sơ (điện Kính Thiên) và Trung Quốc thời Minh (Đại Cao Huyền Điện)(Nguồn: Ngô Vĩ – Bùi Minh Trí – Nguyễn Quang Ngọc)
Một điểm thú vị nữa khi nghiên cứu giải mã bộ khung giá đỡ mái, chúng ta cũng cần có những nghiên cứu về cấu trúc bộ vì của công trình, tức là nghiên cứu cấu trúc nội thất của công trình. Nhưng đây là vấn đề rất khó bởi nghiên cứu trên các mô hình, chúng ta mới chỉ biết được hình dáng bên ngoài của công trình, do đó cấu trúc bên trong của công trình vẫn là điều bí ẩn. Khảo cứu thực địa các kiến trúc cung điện ở Trung Quốc và Hàn Quốc cho thấy, bên trong các cung điện thường có trần để che giấu các đặc điểm cấu trúc, vì vậy không nhìn thấy hệ khung đỡ mái và bộ vì của công trình. Nghiên cứu bản vẽ ta mới có thể biết được cấu trúc bộ vì của các công trình này phổ biến là kiểu thức “đấu củng – chồng rường”, và trên các cấu kiện thường không chạm khắc hoa văn trang trí (xem Hình 15a). Ngược lại, bên trong công trình kiến trúc gỗ truyền thống Việt Nam thường không làm trần mà là nơi để các KTS phô diễn sự khéo léo trong việc xử lý nghề mộc như một sáng tạo nghệ thuật, do đó có thể nhìn thấy tòan bộ hệ vì và kết cấu bộ khung giá đỡ mái. Với đặc điểm này, hệ vì kiến trúc Việt Nam thường được chạm khắc hoa văn khá cầu kỳ, tạo vẻ đẹp cho nội thất của công trình. Các cấu kiện gỗ trang trí thời Trần trên các bộ vì còn sót lại ở chùa Thái Lạc (Hưng Yên), chùa Dâu (Bắc Ninh) hay muộn hơn ở đình Tây Đằng (Hà Nội) thời Mạc là những gợi ý quan trọng về kết cấu và trang trí chạm khắc trên các bộ vì của kiến trúc gỗ đương thời (xem Hình 14). Phát hiện cấu kiện “thượng lương” của bộ vì kiểu chồng rường tại phía Đông điện Kính Thiên nêu trên gợi ý rằng, kiến trúc thời Lê sơ cũng có thể có sự kết hợp khá tinh tế, hài hòa giữa kiểu thức “đấu củng – chồng rường” (xem Hình 15b). Đây là vấn đề rất thú vị, cần được tiếp tục nghiên cứu trong tương lai.
Nguồn:https://danviet.vn/dien-kinh-thien-thoi-le-so-loi-kien-truc-doc-dao-hoang-cung-thang-long-xua-cung-dien-co-do-so-20241203165715798.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