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씨는 중개인이 자신과 아내를 데리고 재정 범위와 신고한 기준에 맞는 여러 집을 보러 갔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집들은 풍수적 오류 때문에 자신과 아내에게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한 집은 뒤편이 좁았고, 다른 집은 집 옆에 전봇대가 있었고, 다른 집은 집으로 바로 이어지는 골목길이 있었습니다.
중개인이 부부를 현대적인 디자인의 5층짜리 56m² 주택으로 데려갔을 때, 두 사람 모두 바로 마음에 들어 했습니다. 게다가 가격도 매우 합리적이어서 같은 지역의 다른 집들보다 저렴했습니다.
"집주인이 76억 동(VND)에 매물로 내놓았습니다. 다시 말해, 1m²당 1억 3,500만 동(VND)으로, 건축비를 제외한 토지 가격과 같은 가격입니다. 저는 이 집이 왜 같은 지역의 다른 집들보다 싸게 매물로 나오는지 의아했습니다. 더 자세히 문의해 보니, 이 집은 계획 중이었고, 14m²의 토지가 1/2000 도로 계획 대상이었습니다. 따라서 향후 도로가 개통되면 이 집은 42m²만 남게 됩니다." 라고 H 씨는 말했습니다.
일러스트 사진.
계획에 따라 진행되긴 하지만, H 씨는 앞으로 도로가 개통되면 이 집이 큰길가에 위치하게 되고, 집 바로 앞에 차들이 주차되어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H 씨는 집주인에게 72억 동(약 1억 2천만 원)을 지불했지만, 집주인은 동의하지 않습니다.
"집주인과 저는 꽤 잘 맞았고, 집주인은 저에게 직접 74억 동에 팔고 싶다고 말했어요. 집주인은 제게 좀 생각해 보라고 했고, 괜찮으면 내일 아침에 와서 보증금을 내라고 했어요."라고 H 씨는 말했습니다.
하지만 H 씨의 아내는 해당 주택이 계획관리 대상이라는 사실을 알고는 아무리 가격이 싸더라도 사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녀의 말에 따르면, 이런 계획관리 대상 주택은 언제 도로가 확장될지 알 수 없고, 언제 팔려고 할지조차 알 수 없어 매우 어렵다고 합니다.
두 부부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집에 돌아온 후 H 씨는 저녁 내내 아내를 설득하여 집을 사는 데 동의하게 해야 했습니다.
"아내가 매수에 동의하기 전까지 오랫동안 분석해야 했습니다. 그 후 여러 관계자에게 집 설계도를 확인해 달라고 부탁했는데, 집주인이 말한 대로였습니다. 그래도 확실히 하려면 구청 설계사무소에 다시 가서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집주인을 만나 가격 협상을 하고 바로 계약금을 지불한 후 설계도를 다시 확인해 볼 생각입니다." 라고 H 씨는 말했습니다.
하지만 다음날 아침 일찍 부부가 집주인을 만나러 갔을 때, 집주인은 그 집이 10분 거리에 있는 다른 고객에게 74억 VND에 임대되었고, 그 고객이 이전 수수료를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개인은 이 고객이 집을 보러 왔다가 가격이 너무 싸서 바로 계약을 성사시켰다고 했습니다. 집주인은 집이 계획 중이라는 걸 알면서도 그랬다고 합니다. 집주인과의 계약서에는 고객이 계획 상태를 5일 안에 확인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어 있었습니다. 집주인이 설명한 것과 다를 경우, 집 인수를 거부할 권리가 있었고, 집주인은 계약금의 100%를 지불해야 했습니다. 중개인은 고객이 그 조건을 추가했을 때, 중개인도 전에는 이런 조언을 해주지 않았다고 해서 놀랐다고 했습니다. 이는 이 고객이 부동산 매매에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들은 투자 목적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거주 목적으로 사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라고 H 씨는 회상했습니다.
H 씨에 따르면, 그와 같은 주택 구매자는 주택이 계획의 영향을 받는다는 정보를 접하면 망설이며, 집주인과 가격 및 계약금 협상을 하기 전에 계획을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른 고객은 부동산을 꽤 많이 매매해 본 경험이 있어서 그렇게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H 씨는 집을 사지 못한 것을 후회하지만, 이번 일이 자신에게 큰 교훈이 되었다며 낙관적인 전망을 내비쳤습니다. 앞으로 마음에 들고 가격도 적당한 집을 찾는다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입니다. 하노이 의 주택 공급 부족으로 "뷰티 퀸"급 집은 금세 다른 손님에게 넘어갈 테니까요.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