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은 반도체 산업과 인공지능을 동시에 발전시켜, 포괄적인 디지털 기술 생태계를 구축하고 새로운 시대의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9월 18일 서울에서 베트남 과학기술부 정보 기술 산업부는 한국정보기술진흥원(NIPA)과 협력하여 "인공지능과 반도체 - 베트남과 한국의 협력 및 투자 기회"를 주제로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두 가지 전략적 분야에 대한 국제 학술대회가 한국에서 처음 개최되는 것으로, 양국 간 사업 연계, 기술 이전, 고급 인력 양성을 위한 채널이 마련되었습니다.

베트남-한국 협력 226.jpg
과학기술부 정보통신 산업국 응우옌 칵 릭 국장과 한국팹리스산업협회 왕성호 대표자회 부회장이 반도체 산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에 서명했습니다. 사진: 과학기술부

반도체 산업은 첨단 산업의 기반으로 여겨지고, 인공지능은 급속한 발전과 사회경제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선두주자입니다.

안정적인 정치 환경, 다양한 특혜 정책, 점점 더 향상되는 국제적 명성 등으로 인해 베트남은 삼성, 앰코, 하나마이크론, 인텔, 시놉시스, 르네사스, USI 등 대형 기술 기업의 목적지가 되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의 관심은 베트남의 반도체 공급망 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칩 생산과 AI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결을 촉진하여 경제에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합니다.

이 컨퍼런스에는 NIPA, Amkor Technology, FPT Semiconductor, CMC 등의 선도적인 조직과 기업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양측은 글로벌 반도체 개발 동향, 베트남의 운영 경험, 새로운 투자 협력 기회 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특히, 이 행사에서는 정보기술산업부장인 응우옌 카크 릭 씨와 한국패블리스산업협회 대표자회 부회장인 왕성호 씨가 반도체 산업 분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에 서명했습니다.

이 협정에 따라 양측은 정책 협의, 인적자원 교육, 연구 개발(R&D), 기술이전 및 반도체 생태계 구축 분야에서 협력을 증진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협정 체결은 베트남과 한국 간 협력 관계의 중요한 진전입니다. 동시에, 향후 양국 기업 간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와 이니셔티브의 시작을 의미하며, 양측은 물론 반도체 산업의 전반적인 발전에도 실질적인 혜택을 가져다줄 것입니다.

2017년 이래 10만 명이 넘는 베트남인이 클라우드와 AI 교육을 받았습니다 . 인공지능 경제에 대비해 베트남 인력을 준비시키기 위해 미국의 한 기술 대기업이 10만 명이 넘는 사람에게 클라우드와 AI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출처: https://vietnamnet.vn/viet-nam-han-quoc-mo-rong-hop-tac-trong-linh-vuc-ai-va-ban-dan-244406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