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핵심은 저자가 문화에 역사적 관점으로 접근했다는 점입니다. 팜 홍 퉁 교수에 따르면, 베트남 문화를 문화가 형성되고 발전하고 증진되었던 역사적, 정치적 , 사회적 맥락에서 분리해서 이해한다면 베트남 문화를 온전히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모든 문화적 가치, 모든 관습, 신념, 또는 영적 상징은 수천 년에 걸친 민족사에 걸쳐 축적, 선택, 그리고 적응의 과정의 산물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저자는 단순히 문화적 요소들을 묘사하고 체계화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기원을 추적하고 그 심오한 의미를 밝혀냅니다.
예를 들어, 저자는 애국심이 베트남 문화의 핵심 가치라고 설명합니다. 이는 외세 침략에 맞선 저항 전쟁의 결과일 뿐만 아니라, 벼농사 농부 들의 단결 정신에서 비롯된 마을 공동체의 전통을 통해 함양된 것입니다. 공동체 정신, 연민, 관용 등은 수많은 자연적, 역사적 도전에 직면해야 했던 베트남 문화의 "정신적 산물"로 여겨집니다.
17편의 단행본을 포함하여 400페이지가 넘는 이 책은 역사적 시기별 베트남 문화의 모습을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주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행본은 이론, 자료, 그리고 현대 학문적 관점을 결합한 작은 책입니다.
서론에서 저자는 베트남 문화의 개념과 특징을 지리적, 역사적, 정치적 상황과 관련하여 논합니다. "베트남과 동남아시아 지역의 다른 국가들은 남북, 동서, 대륙과 해양 간의 무역과 문화 교류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습니다." 저자의 분석에 따르면 베트남 문화는 폐쇄적이지 않고 항상 열려 있으며, "통합되되 '해체'되지 않고, 선진국의 '기술 매립지'나 '문화 식민지'가 되지 않도록" 노력합니다.
다음 단행본에서는 민속 신앙, 마을 문화, 전통 교육 , 베트남의 인간 윤리, 문화와 현대화의 관계 등 구체적인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룹니다.
일부 단행본은 비판적인 성격을 띠며, 문화 연구 분야의 기존 주장들을 재검토합니다. 예를 들어, 저자는 유교의 영향을 논할 때, 사회 질서와 도덕 기준 형성에 있어 유교가 지닌 긍정적인 측면을 지적할 뿐만 아니라, 근대화 과정에서 유교가 창의적 사고와 양성 평등에 미치는 한계점도 지적합니다.
이 책은 또한 세계화의 맥락에서 국가적 문화적 가치를 보존하고 증진하는 데 필수적인 방향인 "시대적 비전"을 제시합니다. 팜 홍 퉁 교수에 따르면, 세계는 디지털 기술, 디지털 미디어, 지식 경제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베트남 문화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내생적 자원으로 인식되어야 합니다. 저자는 문화 교육의 역할을 강조하며, 지식과 용기를 갖춘 현대 베트남인을 양성하는 동시에 민족 정신과 전통적 가치를 고취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국제 통합 시대에 베트남 문화와 국민을 발전시키려는 당의 정책 방향과 일맥상통합니다.
과학적이고 엄격하면서도 긴밀한 문체로 쓰인 "베트남 문화 발견: 역사적 접근에서 현대적 관점까지"는 문화와 역사를 연구하는 연구자, 교사, 그리고 학생들을 위한 책일 뿐만 아니라, 베트남의 기원과 정신적 가치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이 책은 독자들이 베트남 문화가 "정적인 유산"이 아니라 시대와 함께 끊임없이 변화하는 살아있는 존재임을 깨닫게 도와줍니다.
많은 새로운 발견과 해석을 담고 있는 이 책은 진정으로 영감을 주는 발견의 여정이며, 독자들이 과거와 현재, 전통과 현대, 국가와 인류가 끊임없는 문화적 흐름 속에서 만나는 베트남의 "영혼"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도록 도와줍니다.
출처: https://hanoimoi.vn/kham-pha-van-hoa-viet-nam-thoi-dai-moi-qua-goc-nhin-lich-su-720316.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