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한국 문화 체육 관광부 장관이 공동 주관하는 “베트남-한국 문화산업 발전 협력 세미나”
세미나에는 베트남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인 부이 타인 썬과 양국의 문화창조산업 분야 경영기관 대표, 전문가, 선도적 기업 대표가 참석해 영광이었습니다.
한국은 문화 산업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한류"를 세계적인 현상으로 만들었습니다. K팝, 영화, 패션, 음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성공은 문화가 강력한 경제적, 외교적 힘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베트남과 한국은 포괄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상호 보완적인 많은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풍부한 문화적, 인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한국은 경험, 기술, 글로벌 홍보 역량을 갖추고 있어 획기적인 협력 기회를 위한 토대가 마련되었습니다.
세미나에서 응우옌 반 훙 장관은 세계화와 강력한 디지털 전환 속에서 문화 산업이 경제 성장 촉진과 국가 이미지 제고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전략적 역할을 점점 더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베트남은 풍부한 문화적·역사적 유산, 젊고 창의적인 인력, 그리고 약 1억 명에 달하는 시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체성과 국제 경쟁력을 갖춘 현대 문화 산업을 구축할 수 있는 토대입니다.
장관은 2024년 베트남-한국 관광 진흥 및 문화 협력 포럼의 실질적 협력 성과를 바탕으로, 이 세미나는 경험을 공유하고, 정책을 지향하며, 투자 협력 및 고품질 문화 상품 생산 기회를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30년까지 베트남의 문화 산업이 GDP의 7%를 차지하도록 하는 목표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문화체육관광부 채휘영 장관에 따르면, 베트남-한국 관계는 긴밀한 단계에 있으며, 이는 문화 협력을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데 유리한 시점입니다.
채휘영 장관은 베트남이 문화와 예술을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고려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했으며, 특히 베트남이 디지털 경제 전략을 실행하고, 디지털 사회를 변혁하며, 디지털 중심 콘텐츠 산업을 개발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기업 지원 확대, 문화기술 연구개발(R&D) 촉진, 콘텐츠 제작·창작·유통 전 과정에 AI 적용 등을 통해 2030년까지 K-컬처 시장 규모를 300조원, 문화수출액을 50조원으로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장관은 이 대화가 양측이 협력을 증진하고, 성공적인 경험을 공유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솔루션을 모색하고, 문화 분야에서 공동 번영을 향해 노력하겠다는 결의를 입증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세미나에서 보다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국제문화정책실 김현준 실장은 한국 K-콘텐츠 산업의 현재, 미래, 그리고 발전 방향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국제문화정책국장은 콘텐츠 산업이 2023년 수익 154조 2,000억원, 수출 133억 4,000만 달러에 달하고 관광, 식품, 화장품, 패션, 자동차 등 관련 산업에 강력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중요한 경제 동력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김현준 대표는 또한 콘텐츠에 대한 정책금융 및 투자기금 강화, 공연, 영상, 게임 등 3대 핵심분야 연구개발(R&D) 촉진, 국제시장 진출 지원, 해외사업 거점 구축, 콘텐츠와 관련 산업 간 협력 증진 등 K-콘텐츠를 세계화하기 위한 한국의 핵심 전략을 소개했습니다.
베트남 개요 보고서에서 저작권 사무소장인 쩐 황(Tran Hoang) 씨는 베트남의 문화 산업 발전 정책, 최근의 뛰어난 성과, 그리고 음악, 영화, 패션, 게임 및 저작권 분야에서의 베트남-한국 협력의 현재 상황을 발표했습니다.
그는 다음을 포함한 5가지 전략적 협력 방향을 제안했습니다. (1) 문화 산업, 특히 저작권 및 관련 권리 분야에 대한 정책 및 법률 수립 경험 공유, (2) 베트남-한국 공동 창작 제품 및 브랜드 홍보, (3) 특히 영화, 음악, 문화 관광, 디자인 및 게임 분야 시장 및 제품 개발 협력, (4) 비즈니스 연결, 투자 및 합작 제작 사업 강화, (5) 핵심 분야에서 전문 교육, 인력 교류 및 장학금 촉진.
이 세미나는 양국의 관리자, 전문가, 기업이 경험을 교환하고, 협력의 필요성을 공유하며,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제안하는 포럼입니다.
음악 산업의 HYBE, 게임 및 소프트웨어 산업의 Krafton, 어린이 및 가족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산업의 Carriesoft(한국), 그리고 BHD, DatViet VAC Group Holdings, YeaH1…(베트남)의 대표들은 한국 파트너들과의 공동 제작 모델을 공유하여 재능 있는 신세대 아티스트를 양성하고 소개함으로써 베트남의 열풍을 국제적으로 확산하고자 했습니다.
한국 측은 재능 교류, 교육 협력, 공통 기술 플랫폼 구축, 온라인 게임과 e스포츠의 공동 제작 및 퍼블리싱 등을 통해 국제적인 관객에게 매력적인 고품질, 비용 효율성, 문화적으로 풍부한 애니메이션 산업을 구축하기 위한 협력을 제안했습니다.
세미나를 마치며 부이 탄 손 부총리는 이번 행사에서 논의된 협력 내용, 특히 창의적 스타트업 정책 수립 경험, 기업-예술가-미디어 기술을 효과적으로 연결해 지속 가능한 창의적 생태계를 형성하는 경험이 베트남에 귀중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부총리는 합의된 협정과 협력 방향이 곧 실질적인 프로그램과 프로젝트로 구체화되어 시장 확대, 경쟁력 향상, 베트남과 한국의 문화적 가치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믿습니다.
베트남 정부는 이니셔티브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과 창의적 단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장려하며, 문화 산업을 두 나라를 잇는 강력한 다리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양국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VTC Corporation과 T3 Entertainment 간의 협력 협정, 그리고 BHD Company, Film Line, Web TV Asia 간의 영화 프로젝트 "Saigon Oppa" 협력 협정을 포함한 주요 협력 문서 교환식이 열렸습니다. 이러한 협정 체결은 양국 문화 사업의 새로운 발전 국면을 열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https://baovanhoa.vn/van-hoa/viet-nam-han-quoc-toa-dam-ve-hop-tac-phat-trien-cong-nghiep-van-hoa-160259.html
댓글 (0)